지구본 대탐험 - 돌리면서 배우는 세계 지리와 지구 과학
와타나베 가즈오 지음, 김소영 옮김, 고이즈미 다케에이 감수 / 상상의집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돌리면서 배우는 세계 지리와 지구 과학

'지구본 대탐험'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집집마다 지구본 하나씩은 다 있다

동그란 구가 뱅글뱅글 돌아가는 재미에

처음엔 호기심 어린 장난감으로 접하다가

작고 동그란 구 그 안에 커다란 세계가 들어 있다는 걸 깨닫게 되면 

대체 이 지구본은 뭘까?

어떻게 세계를 여기에 다 담았을까?

호기심은 궁금증으로 바뀌게 되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을때 펼쳐보면 좋을 책이 나왔다

 

 

 


지구본이 무엇이냐고 초등생 아이에게 물었더니

우리가 사는 지구를 작게 축소시켜놓은 모형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45도 기울어 회전하는 모습과 바다와 육지의 크기를 정확히 옮겨져 있는 지구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즉 지구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 사는 지구는 둥글다는 정도는 유치부도 아는 사실

지구가 둥근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는지 자세히 적혀 있다

수평서 너머로 배가 사라지는 원리를 상세하고 과학적으로 설명해놓았다

이런 부분은 학교에서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는 초등생들부터 읽으면 좀 더 이해가 빨리 되지 않을까

 

 

 

 

지구에 대한 거라 과학은 기본이오

지구에 대한 역사까지 담고 있어 한국사를 좋아하는 우리 초등생이 관심있게 읽었다

한국에서 존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은 19세기에 만들어진 <지구의>

저 시대에 지구본을 만들었다니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놀랍다는 녀석의 소감

<지구의>를 만든 최한기가 있었기에 김정호가 <지구전후도>를 만들 수 있었다며

기회가 된다면 직접 꼭 보고 싶다고 했다

 

 

 

 


지구본은 빙글빙글 돌리는 장난감으로 시작해

그저 우리나라가 어디쯤 있으며 세계 여러나라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아보는 도구에 그쳤는데

지구본의 구조와 이름은 '지구본 대탐험' 을 통해 제대로 배울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집에 있던 지구본을 보면서 무심코 돌려댔던게 바로 <시간판>이었다는 사실

세계 각지역마다 시차가 있다는 건 알았지만 그 시차를 무엇으로 편리하게 알아볼 수 있는지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다

 초등 고학년쯤 되니까 적도, 남회귀선, 북회귀선, 위선, 경선, 지축 정도는 과학시간에 들어본 바

지구본의 구조를 통해 보다 정확히 파악해 보았다

 

 

 

 

 

 


사실 그동안 평면 종이로 이루어진 지도는 아이들도 많이 볼 수 있지만

평면 세계 지도와 둥그런 지구본의 방위는 달랐다

평면 세계 지도가 휴대와 표면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반면

지구의 면적.거리.방향을 동시에 올바르게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지구 과학과 세계 지리는 앞으로 중, 고등 교과정에서도 계속 배우는 과목이니만큼

지구의 생성과 과학적 원리를 기초로 해서 세계 지리까지 '지구본 대탐험' 으로 배워두면 좋겠다

 

 

 

 

 


종이 테이프를 이용해 간단하지만 재미난 실험을 해 볼 수도 있는데 이를테면

서울에서 가장 먼 곳은?

서울에서 러던 최단 코스는?

서울과 같은 경도의 도시는?

종이 테이프 하나로 경선을 만들어 같은 경도에 있는 도시를 찾아보니

아이들은 또 새롭고 재미난 지구본 사용법을 발견했다고 즐거워했다 

 

 

 

 

 

보통의 아이들이 지구본을 돌리면서 가장 많이 하는 놀이 중 하나가

나라의 위치나 수도 찾기가 아닐까

직접 가 보지 않아도 지구본의 기호와 약속을 통해 전 세계의 환경과 문화 등을 알아 볼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지구본을 보았다면

이제는 시야를 좀 더 넓혀 가고 싶은 나라를 정해놓고 그 나라를 중심으로 지구본을 살펴보는 재미도 느껴보자

 

 

 

 

 

'지구본 대탐험'

지구본이란 무엇일까, 

지구본의 구조,

지구의 안과 밖,

지구본 돌리며 세계 일주,

지구본으로 아는 지구의 활동

총 5장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각 장마다 칼럼이 있어 기본적인 지식 외에도

읽으면서 지구본에 대한 여러 방면으로 생각을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지구본에는 해양에 난류, 한류의 화살표나 해저 지형도가 표시되어 있고

지진을 표시한 <세계의 진원 분포> 지구본으로 지진의 지원 화산대를 살펴볼 수도 있다

날이 갈수록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요즘

살아 숨쉬고 있다는 지구의 활동을 이렇게 연구하며 분석한다면

앞으로의 자연재해를 조금이나마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지구의 크기는 과거와 현재가 똑같다

하지만 지구 위를 여행하는 시간은 어마어마하게 큰 차이가 난다

지금은 비행기로 보다 짧는 시간에 여행이 가능하지만

과거 17세기, 19세기엔 어떻게 세계를 오고 갔을지...

지구본을 따라 그 여정을 미뤄 짐작해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제주에도 표류해 한국을 최초로 서방에 알린 서양인 하멜이라던지

특사의 임무를 띄고 한국 최초로 세계 일주를 했던 민영환이라던지

그들의 발자취를 지구본으로 따라 가보니 실로 대단했다

 

 

 

 

 

처음은 지구본의 사용법을 익히는 걸로 시작했는데

'지구본 대탐험'을 다 읽을 때쯤엔 그 안에 담긴 지구와 세계, 사회와 과학의 풍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작지만 커다란 세계를 그대로 담은 작은 공 지구본

세계 지리와 지구 과학 그 모든 것이 궁금하고 알고 싶은 초등생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