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렸던 자연이 가능한 한 온전히 다음 세대로 이어질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최원형 서울시 에너지 시민협력분과위원의 <제로웨이스트 쫌 아는 10대>는 막연히 불안했던 환경문제에 대해서 구체적 수치로 경각심을 높여준다.
* 자연을 변기처럼 취급하는 짓을 멈춰야 한다
2121년 제26차 유엔기구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26 개회식에서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이 경고했다.
"우리의 화석 연료 중독이 인류를 벼랑 끝으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중독을 멈출 것인지, 중독이 우리를 멈추게 할 것인지 엄숙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자연을 변기처럼 취급하는 짓을 이제는 멈춰야 합니다."
* 한반도 8배의 바다 쓰레기섬과 20만 톤의 쓰레기산
북태평양 중간 지대에 있는 한반도 면적의 8배나 되는 거대 쓰레기 지대GPGP나 2019년 경북 의성에서 발견된 4만여 제곱미터의 매립장 부지에 쌓아 올린 20만 톤이 넘는 쓰레기산은 이제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게 여겨진다. 문제는 이런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진다는 데 있다. 이런 내용이 잘못된 보도였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지만 현실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을 뿐이다.
'2022년 1월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플라스틱, 살충제를 비롯한 화학 물질 오염이 지구 생태계의 위험 한계선을 넘어섰다고 보고 있어. 이미 플라스틱의 총 질량이 살아 있는 모든 포유동물의 총 질량을 넘어섰다고 해.'
* 폐플라스틱의 가장 큰 책임, 생산자
전 세계에서 배출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절반 이상인 55퍼센트가 세계 주요 플라스틱 제조업체 20곳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나라의 롯데케미칼도 12위를 차지했다. 비용 절감을 이유로 기업에서 생산하는 어머어마한 플라스틱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면서 깊은 바닷속에서부터 에베레스트 정상까지 미세프라스틱이 발견되고 있다. 기업과 정부와 소비자 모두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플라스틱 사용을 멈추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다양한 형태로 플라스틱 사용은 더 증가하고 있다. 마치 멈추지 못하는 브레이크라고나 할까.
'과학과 기술로 우주여행을 연구할 게 아니라 지구의 쓰레기를 어떻게 자원으로 활용할지를 궁리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어.'
* 부끄러운 세계 1위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면적 대비 쓰레기 배출량이 세계 최고야. 심지어 쓰레기양이 세계 최고인 미국보다도 면적 대비 쓰레기 배출량이 무려 7배나 더 많아.'
'교통카드를 비롯한 신용카드는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만 1억 500만 장이 발급돼 있대. 우리나라가 18개 주요 국가 가운데 1인당 신용카드 사용이 가장 높다고 해. 2위인 캐나다가 1년에 평균 125회 쓰는 것과 대조적으로 우리나라는 208번을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
* 넘치는 쓰레기, 고갈되는 자원
2018년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인류의 쓰레기 배출량이 연간 20억 톤이 넘고, 2050년에는 38억 8,0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2016년 미국 지질조사국이 발간한 <2016 광물자원 개요>에 따르면 금, 은, 철, 구리는 아무리 길게 잡아도 2050년쯤에는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2100년이면 대부분의 지하자원이 사라진다고 한다.
* 편리한 삶에서 자발적 불편으로
'아무리 감추고 보이지 않게 꽁꽁 숨겨도 쓰레기는 결국 우리가 사는 지구 어딘가에 머물 수밖에 없어. 더구나 그 양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니 더 이상 숨길 곳도 마땅치 않고 말이야.'
'편리한 삶이라는 게 쉼 없는 소비와 쓰레기 생산이었다는 걸 자각한다면 앞으로 우리가 생존을 위해 해야 할 선택은 지금보다 불편한 삶일 수밖에 없어.'
--- 편리함을 쫓아 지구를 쓰레기 지옥으로 만들고 있는 인간들의 기술이 이제는 서서히 종말을 향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종이봉투를 만드는 나무와 숲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비닐봉지가 이제는 해양생태계와 인간의 생명까지 위협하게 된 현실도 역설적이다. 우리가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야 하지 않을까? 여전히 일회용품을 남용하고 아무런 거리낌 없이 쓰레기를 무단 배출하는 일상을 돌이킬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가정과 학교와 기업에서 환경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불편하지만 환경을 생각하는 삶의 방식을 교육하고 실천해야 할텐데 면적 대비 쓰레기 배출량 세계 1위인 우리사회에서는 그런 변화의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끊임없이 쓰레기를 만들면서도 쓰레기를 외면하는 이 역설을 언제쯤 멈추게 될까?
안타깝지만 이 무한질주를 자발적으로 멈출 것 같은 희망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