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600년의 기억
정명림 지음, 장선환 그림, 이지수 기획 / 해와나무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글 정명림

| 그림 장선환

| 기획 이지수

| 출판사 해와나무

 

광화문이라는 키워드를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무언가가 무엇인가요?

저는 광화문하면 광화문 광장이 생각나더라고요. 광화문 근처에 있는 교보문고를 아이들과 가게 되면 광화문 광장에서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의 동상, 광화문까지 꼭 보고 집에 가곤 했기 때문이에요. 아이들이 역사를 좀 알게 되면 경복궁에도 가서 조선의 역사와 조선왕에 대해서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적재적소에 광화문 600년의 기억그림책을 만나게 되어 소개해보려 합니다.

광화문 600년의 기억은 그림책이지만 글 밥이 많은 편에 속해서 스스로 읽고 역사를 이해하려면 초등중학년 정도가 어울리는 책인 듯해요. 우리 집 초등 3학년 아이는 조선의 역사를 학습만화를 통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기에 600년의 역사의 흐름과 광화문이라는 상징성을 잘 이해해주었고, 초등 1학년인 아이는 역사의 흐름은 이해하나 광화문이라는 상징성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은 못 하는 듯하더라고요. 다만, 엄마가 읽어주고 아이는 그림을 보며 시각적 정보에 의해 이렇게 광화문의 탄생과 시간의 흐름, 현재의 광화문이 어디 있는지에 대한 모습만 기억하며 광화문 역사 속 굵직굵직한 사건에 대해 ?’라는 질문을 많이 던졌답니다.

 

-조선의 첫 임금 이성계가 정한 도성, 한양

-백성들의 겨울철 궁궐 공사 모습

-경복궁의 완성과 세종 임금 때 궁궐 정문인 남문; 광화문 (임금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

-나라의 행사시 인산인해인 광화문 앞

-임진왜란, 일본군대에 의해 불에 탄 광화문

-전쟁 후 잊혀가는 광화문 앞마당

-흥성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다시 밀려난 광화문

-1950년 전쟁 속 폭탄에 의해 다시 망가진 광화문

-전쟁 후 콘크리트로 복원된 광화문

-1995, 조선 총독부 철거

-2010년 광화문 광장과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온 광화문


 

 

그림책에서 보여주고 있는 광화문의 600년 역사를 짧게 소개해보았습니다. 마지막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온 광화문페이지를 읽을 때, 이상하게 전율이 쫘악~ 느껴지며 마음이 아주 따뜻해졌는데요. 600년을 이어온 광화문 역사를 보며 힘들었던 시련과 고난, 빼앗기고 망가졌었지만 다시 복원되어 현재도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에 역경을 이겨내고 희망을 품어도 되겠다는 의연함을 느낄 수가 있었는데요. 광화문 광장에 가면 아이들과 함께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공간과 행사가 많아서 그곳에서의 기억이 참 좋습니다. 그래서 광화문하면 아이들의 웃음꽃 피는 모습이 떠올라 과거에 암울했던 때의 모습이 상상이 가지 않는데요. 이번에 광화문 600년의 기억그림책을 보았으니 조만간 다시 광화문에 가서 이전과는 다른 역사 속 광화문을 좀 더 만나고 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광화문600년의기억

#정명림

#해와나무

#역사그림책

#광화문역사

#미자모카페

#미자모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