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우리말 - 읽다 보면 문해력이 저절로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누리 지음, 송진욱 그림 / 길벗스쿨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글 우리누리

| 그림 송진욱

| 출판사 길벗스쿨

 

초등 저학년 아이에게 잠자리독서 읽어주기를 지금까지도 진행중에 있어요.

아이의 책을 읽어주다 보면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는 우리말이지만,

아이는 그 뜻을 모르고 있어 글의 문맥을 이해하지 못할 때가 종종 있더라고요.

 

문해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어휘력이 부족하면 안되기에 아이의 질문에 최대한 답변을 최대한 잘 해주려고 노력을 하는 중이지만 엄마의 노력만으로도 아이의 답답함을 채울 수가 없더라고요.

엄마의 설명이 너무 길고 재미가 없다는 아이의 뼈있는 한 마디!

 

초등 국어 교과서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우리말의 사용법을 재미있는 만화와 유래를 곁들여 소개하는 책을 이은경 선생님의 추천 피드로 알게 되었어요.

 

아이 혼자서도 재미있게 우리말의 유래와 어휘의 정확한 뜻,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이에요. 저도 몰랐던 말의 유래 이야기를 보면서 우리말의 배경을 알게 되니 암기가 아닌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무릎을 '' 치게 되더라고요. 아이에게 어려운 어휘도 자연스럽게 네 칸 만화로 쉽고 재미나게 습득할 수 있겠다는 희망이 보였습니다.

 

4가지의 키워드와 관련 있는 우리말의 유래가 정리되어 있어요.

 

-역사에 담긴 우리말

-사람이나 성격과 관련 있는 우리말

-음식이나 자연과 관련 있는 우리말

-알고 쓰면 더 재미있는 우리말

 

왼쪽 페이지는 일상생활 표현 네 칸 만화와 우리말의 정확한 뜻예시문

오른쪽 페이지는 우리말의 유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저도 정말 상상도 못 했던 유래 이야기에 흠뻑 빠져 한 권을 바로 완독해보았답니다.

 

-‘시치미라는 말이 매의 이름표라니?!

-‘헹가래는 외래어라고 생각했었는데, 순수 우리말이라고 하네요!

-조선시대 궁궐의 처마 위해 동물처럼 생긴 작은 조각상을 어처구니라고 가리킨대요. 그럼 어처구니없다라는 무슨 뜻인지 아시겠죠?

-‘부랴부랴불이야, 불이야에서 유래된 말.


 

이 외에도 뜻밖의 우리말의 어원이 둥장하면서 내가 생각보다 모르고 쓰는 우리말이 많았구나 싶었어요. 어휘의 유례를 깊이 있게 알게 되면서 일상어의 배경 지식도 함께 얻었습니다. 우리 아이의 어휘력과 문해력을 촘촘하고 탄탄하게 기를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 뿜뿜 솟아났습니다.

 

이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이래서 이런 관용어가 생겼대요, 이래서 이런 한자어가 생겼대요책이 한 번에 출간되었다고 합니다.

관용어책도 구매해서 아이의 문해력 상승과 올바른 우리말 사용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또래에 배히 어휘력이 부족한 자녀가 걱정이신가요?

재미있게 어휘 공부를 하고 싶은 초등학생이 있으신가요?

우리말과 관련된 알찬 학습자료가 필요한 선생님이 계신가요?

 

위의 물음에 해당되시는 분들에게 이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책을 꼭 추천해 드립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그래서이런말이생겼대요

#우리누리

#길벗스쿨

#문해력

#우리말

#초등학생추천도서

#말의어원

#초등필수교양서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