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가 사교육을 이긴다 - 서울대 카이스트생 두 딸 엄마가 알려주는 독서 활용법
이미향 지음 / 미다스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에 있어서 독서가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죠?

저 역시 독서의 힘을 알고 있기에 첫째 아이가 돌 무렵 되었을 때부터 책을 많이 읽어주려고 노력을 해왔습니다. 지금까지도 두 아이의 잠자리 독서만큼은 매일 읽어주고 있는데요. 이제 초등학생이 된 첫째 아이의 친구들의 사교육 소식을 접할 때는 나의 책육아 방식이 맞는 것인가? 하며 가끔은 흔들리기도 했는데, 그 마음에 중심을 잡아줄 책 한 권을 만났습니다.

 

독서가 사교육을 이긴다책의 이미향 저자는 독서보다 좋은 공부법은 없다는 마음으로 독서로 자녀를 교육했고, 그 결과 두 딸(카이스트 대학교, 서울대학교)은 명문대에 진학하였습니다. 두 딸의 경험을 토대로 독서가 주는 유익함과 공부법을 소개해주고자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저자가 말하는 독서의 장점은?

책을 읽을수록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하고, 상황에 맞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도 자랍니다. 또한, 간접경험도 축적할 수 있고, 사교육의 과도한 경쟁과 공부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〇『독서가 사교육을 이긴다에서 강조하고 싶은 메시지는?

계획성 있는 다독을 통해 공부와 행복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한국 교육의 문제점은 과도한 공부 부담, 상위권을 차지하기 위한 과도한 경쟁, 창의력과 개성의 부재라고 합니다. 사교육은 가까이에서 보면 개인에게 비교 이익을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보면 모두에게 과도한 경쟁과 압력을 주는 시스템입니다. 앞으로는 창의력이 중요해지는 AI 시대입니다. 손가락만 움직이면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데, 이런 정보들을 암기하느라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아이들이 아까운 청춘을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한글로 독서하고 토론하고, 영어로 독서하고 토론하는 학교로 탈바꿈되어야 합니다.

 

독서의 중요성, 잇점, 시기별 추천도서와 상황별, 과목별 독서 방법, 가정과 학교에서의 독서법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경험 제시

 

-저자의 두 아이들은 하루 2시간 이상 매일 독서를 함

-어려운 한자, 풍부한 배경지식, 이해력, 조리있는 언변은 모두 독서와 다독을 통한 선물

(저자는 <마법천자문>학습만화와 <어린이과학동아>잡지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함)

-주변에 휘둘리지 말고 멀리 내다보기(학교 안팎의 다양한 활동에서의 참여는 아이가 원할 때만 하기! 부모의 욕심은 금물! 경시대회를 비롯한 각종 시험은 경쟁심리를 부추겨 아이의 마음고생을 하게 할 수 있음)

-독서는 논술전형(인문 놀술)에 유리

-사회, 과학분야는 사교육 대신 교과서 연계 독서로 독서의 흥미를 올려주기(생활 속 상식을 알려주는 가벼운 만화로 시작해서 재미와 호기심을 채우며 수준을 높여나가기)

-독서는 아이 정서를 안정시킨다.

-거실독서, 가족이 모두 독서 참여(아빠도 독서하기)

-아이의 독서 취향 존중(편독도 괜찮아)


 

위에 열거한 내용은 주관적으로 저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간추린 것이에요. 훨씬 많은 독서 정보들이 담겨 있으니 각자의 가정에 맞는 독서법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저자의 자녀들은 행복한 독서로 입시까지 모두 챙긴 결과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우리 집 아이들도 저자의 아이들이 지나온 과정을 잘 거쳐 행복한 독서를 통해 내면의 잠재력을 키워 사교육 없이도 좋은 성과를 얻었으면 하고 바래봅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독서가사교육을이긴다

#이미향지음

#미다스북스

#독서의장점

#독서활용법

#독서공부법

#독서교육

#독서

#사교육

#자녀교육

#정서 #공부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사교육은 가까이에서 보면 개인에게 비교 이익을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보면 모두에게 과도한 경쟁과 압력을 주는 시스템이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