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부터 사극 드라마를 좋아했었기에 역사라는 분야의 배움은 어려워도 호기심이 먼저 발동하여 알고 싶은 욕구가 충만하다. 궁궐, 낯선 한자어, 처음 보는 물건과 풍습 등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우리 민족의 궁궐 및 전통문화의 친숙함이 늘 존재한다. 반면에, 우리 아이들은 우리 민족의 역사 및 전통문화의 노출이 거의 없는 편이라서 어떻게 즐겁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 해줄지가 늘 고민이었는데 『메롱해치의 우리문화 숨은 그림 찾기』를 통해 즐겁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 싶다.

어릴 때부터 사극 드라마를 좋아했었기에 역사라는 분야의 배움은 어려워도 호기심이 먼저 발동하여 알고 싶은 욕구가 충만하다. 궁궐, 낯선 한자어, 처음 보는 물건과 풍습 등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우리 민족의 궁궐 및 전통문화의 친숙함이 늘 존재한다. 반면에, 우리 아이들은 우리 민족의 역사 및 전통문화의 노출이 거의 없는 편이라서 어떻게 즐겁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 해줄지가 늘 고민이었는데 『메롱해치의 우리문화 숨은 그림 찾기』를 통해 즐겁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 싶다.
-‘메롱해치’라고 들어보셨나요?
경복궁 속 영제교에 메롱을 하고 있는 환상동물 해치라고 한다.
힘이 세고 정의 로운 해치는 사람의 옳고 그름을 아는 재주가 있는데, 이 메롱해치와 함께 세시풍속부터 궁궐까지 16개 꼭지에 있는 다양한 우리 문화를 찾아 우리 문화를 더욱 즐겁게 즐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각 꼭지마다 숨어있는 ‘우리문화 찾기’, ‘숨은 그림과 관련 있는 재미난 이야기’가 연이어 등장하며 약 4쪽의 분량으로 16개의 목차(한양 도성, 설, 단오, 추석, 서당, 관례와 계례, 예비 시험, 성균관, 급제, 입궐, 국정과 경연, 묘편례, 소주방, 연향, 국장, 즉위)로 작지 않은 분량으로 구성되어있다.

아이들은 역시 숨은 그림찾기에 신이 났다.
처음 <한양 도성>편에서 찾아야 할 그림은 수문군, 호패, 엽전 꾸러미 등이 있는데, 아이들은 이름과 그림을 매칭하지 않고 오롯이 그림만 맞추는 모습을 보였다. 엄마의 바램은 그 그림이 가리키는 것이 적어도 어떤 이름을 가진 것인지, 그리고 기능은 무엇인지까지 모두 다 보면 좋겠지만 꾹 참기로……. 오늘만 이 책을 볼 것이 아니라는 확신이 있다. 오늘은 그림만, 다음엔 이름도 그다음엔 그 어휘의 의미까지, 그리고 확장 독서까지 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나에게는 익숙한 한양 도성의 그림! 사극 한 시리즈만 보아도 조선 시대의 이미지가 쉽게 그려질 텐데... 아이들은 낯선 한양의 모습이 그저 신기할 뿐이다. 알록메롱해치의 우리문화 숨은 그림 찾기 달록 비슷한 듯 다른 생김의 한복과 도성 속 장날 표현들, 그 시대의 집을 보며 아이는 ‘수원화성’을 떠올렸다. (그래, 그 정도만 생각해줘도 완전 고맙지!!! )
숨은 그림찾기가 끝난 후 다음쪽에는 ‘한양 도성 이야기’가 담겨있다.
동전으로 정해진 도읍 이야기는 가히 충격적이었고, 여러 가지 호패를 보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주민등록증을 떠올렸다. 그리고 한양에 있는 사대문에 대해서도 정독하며 현판의 씌인 한자의 의미와 깨알 정보를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른인 나의 기준에서는 숨은그림 찾기 속 의미에 대한 이야기와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 알려주는 이야기들가 흥미로웠기에 중간에 멈추지 않고 쭈욱 끝까지 내용을 탐독하였다.
아이들 기준엔 16개의 꼭지를 모두 알게하여 배경지식을 쌓기보다는 아이가 관심있는 꼭지를 차례로 보여주는 것이 한 번 더 눈에 담아가는 가장 효과적인 독서였다. 우리아이들은 설, 단오, 추석, 서당, 성균관에 대한 이야기에 눈이 반짝반짝, 호기심을 충족하길 원했고 발음도 어려운 관례, 계례, 묘현례, 입궐, 국정, 경연, 연향 등등의 어휘에는 약간의 거부의 눈길을 슬며시 흘려주었다. 그래도 다행인 건 역시 작가님이 의도 하신대로 우리문화를 즐기는 마음! ‘숨은 그림 찾기’는 한 페이지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모두 찾아내려고 노렸했다는 점!

원래 우리나라 전통에 관심이 많은 아이라면 무조건 봐야 할 책! (재미와 지식을 한번에!!)
전통문화에 노출이 적은 아이라면 거부가 없는 ‘숨은 그림 찾기’로 조금씩 마음을 열어볼 수 있게 도와주면 좋을 것 같다. 우리집은 일단 반 성공! 아이가 이 책을 자주 찾으며 조금씩 눈에 담는 글과 그림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메롱해치의우리문화숨은그림찾기
#우리문화
#메롱해치
#숨은그림찾기
#김유신
#봄나무
#궁궐용어
#명절
#풍속
#문화
#미자모카페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