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트 게임 - 세상에 없던 판도를 만든 사람들의 5가지 무한 원칙
사이먼 시넥 지음, 윤혜리 옮김 / 세계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일과 삶'에 대한 통찰력 있는 메세지를 가지고 TED Talks강연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인물이다. 저자의 이름만으로 신뢰가 가는 책! 책 내용이 궁금하기보다 저자가 쓴 이 책이 궁금했다. (아마 다른 주제의 책이어도 나는 선택해서 읽었을 것 같다.)

 

자녀교육서 관련 책을 오랫동안 보아온 나에게 조금 어울리지 않은 '경영'분야의 책이다.

비즈니스 세계에서 필요한 '무한 경쟁력' , '훌륭한 리더는?', '일과 삶' 불안한 현재보다 기대되는 내일 등의 무한 게임에 대해 배워보자.

 

 

-유한게임과 무한게임 (유한게임은 시작, 중간, 끝이 존재/ 무한게임은 명확한 종료지점도, '이긴다'는 개념도 없다)

-수많은 리더는 '경쟁에서 이기는 것', '최고'에 집착

-유한게임 사고방식 진행시 신뢰상실, 협력 관계 붕괴, 혁신 실패가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무한게임 사고방식 진행시 구성원 간 신뢰도 상승, 협력관계 넓어짐, 혁신 가능 등

-비지니스 속 무한게임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누가 최고인지 집중하던 습관 버리기, 영속적으로 게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강한 기업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고민해야 함

-"나에게 가장 좋은 게 무엇인가? 유한 게임 사고 방식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게 무엇인가? 무한 게임 사고 방식

-예상치 못한 변수 발생 시 무한게임 사고방식은 혁신이 가능하지만, 무한게임 사고방식으로 운영되는 기업은 그들이 세운 계획에 차질이 생겨 게임에서 질 확률이 커짐.

-가짜목표와 진짜목표 구분하기(목표를 달성한 후, 큰 목적이 없다면 시간이 흐르며 설렘이 점차 약화된다.) 학업성취와도 연관 지어 볼 수 있는 것 같다. 1등이란 목표달성 후, 이걸로 끝인가? 계속 1등만 해야 한다는 공부하는 기계가 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무한게임식 사고를 한다면 1등을 하지 못하더라도 길게 보면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꿈은 무엇인지 대의명분을 찾아야한다. (무한 게임에서는 '최고'보다 '더 나아감'을 추구한다.)

-유한게임식 리더가 선의를 품어도 '좋은 일을 하려면 돈을 벌어야 한다'라고 생각하지만 무한게임식 리더는 '좋은 일을 하면 돈이 벌린다'라고 생각한다. (p97) ->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최선을 다하면 어느새 행복과 돈이 따라 온다'는 말을 종종 듣곤 한다. 아마 이 이야기도 무한게임의 사고방식 중 하나인 듯하다.

-라스베이거스 포시즌 호텔 이야기에서 '자원''의지력' 단어의 등장. 자원에는 한정이 있지만 의지력은 무한하다. 의지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이 회복 탄력성이 좋다.

-리더의 책임은 사람들이 안전함과 소속감을 느낄만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p198)

 

 

...

 

책의 이야기가 끝날 무렵 비지니스가 아닌 우리의 '인생'과 연관 지어 유한게임식 인생과 무한게임식 인생관 사고방식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인생은 유한, 생명은 무한

-태어나는 순간 게임에 참여하게 됨

-유한게임식과 무한게임식으로 플레이할지 결정해야 함

-유한게임식 플레이라면 부자 혹은 다른사람보다 빠른 승진이 주요 목표일 것

-무한게임식 플레이라면 봉사의 삶이 될 것

-누구도 자녀양육, 우정, 학습, 창의력 같은 게임에서는 승자가 될 수 없음

 

무한게임 사고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할 시 우리가 떠난 뒤에도 자녀가 스스로 성장하여 타인에게 봉사하는 삶을 살도록 양육하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어떤 플레이를 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이 책은 비즈니스세계에서 유한게임의 실패와 무한게임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여러 기업들을 예시로 들며 잘 설명되어 있다. 처음에는 나도 ~ 그렇구나.”, “그래, 유한게임의 사고방식보단 무한게임의 사고방식이 옮은 선택이지~” 하며 저자의 말에 동의하며 읽어나갔다. 읽을수록 의문이 생겼다. 시간과 돈이라는 개념에서 여유가 있는 기업이나 리더만이 무한게임의 사고방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당장 기업이 파산할 수도 있을 만큼 재정이 불안정한 기업, 그리고 하루 벌어 먹고 사는 사람들일 경우라면 무한게임은 이상적인 방향일 뿐, 현실에서 실천할 수 없는 이념 같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내가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겠다고 결정을 하여도 주변에서 나와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없다면 다들 유한 경쟁의 사고방식을 취한다면 내가 지속해서 무한게임 사고 방식을 끝까지 고수하며 살 수 있을까? 책을 통해 궁극적으로 무한게임의 사고방식을 취하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중간 중간 유한게임의 사고방식 또한 유연하게 적용하는 인생이 되어야 할 것 같다. 내 주변 모든 사람들이 나 같은 마음으로 함께 무한게임의 사고방식을 가지면 좋겠지만 유한게임의 방식을 취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기에, 그 사람들로 인해서 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려면 조금은 나를 지키기 위한 똑똑함도 지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 책은, 1등 혹은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을 가진 사람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 당장 눈앞의 성과가 아닌 멀리 숲을 보는 지혜가 필요한 사람들이 꼭 보길 바란다.

 

 

이 리뷰는 미자모카페를 통해 세계사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인가? - P26

무한게임식 리더들은 ‘좋은 일을 하면 돈이 벌린다‘라고 생각한다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