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국어 공부 : 표현편 시로 국어 공부
남영신 지음 / 마리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언어를 위해 어휘력, 문해력 관련 책은 많이 봐왔지만 정작 나를 위한 국어 공부는 고등학교 이후로는 따로 접해본 적이 없었다. 어휘력이 부족하다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되거나 불편을 감수했던 경험도 없다고 생각했는데, <어른의 어휘력>이란 책을 5월에 접하면서 내가 어휘력이 참 부족하구나어른다운 어휘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때 혜성처럼 나의 눈에 띄게 된 책! 시를 읽으면서 국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로 국어 공부; 표현편>!

 

<시로 국어 공부>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에게 온 책은 제3권인 표현편 이었다!

유익한 단어나 시인들이 많이 사용해 주기를 바라는 단어, 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적 관용구, 시에 많이 쓰이는 수사법으로 3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시로 어휘 공부]에서는 일상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시인이 씀으로써 생명력을 불어넣은 단어들로 골랐다고 한다. 나에게 생소한 단어인 골붉다’, ‘께벗다’, ‘발싸심하다’, ‘이아치다’, ‘함함하다’, ‘라는 어휘가 등장했다. 그냥 이렇게 단어를 나열해 놓으니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지 아니한가? 책에서는 특정 시에서만 쓰이는 특별한 단어인 시어를 소개하고 있다. 물론 그 시어가 사용된 한 편의 시도 함께 볼 수 있다. 남영신 작가님이 시어의 뜻, 한 편의 시, 시 속에서 시어의 의미를 깔끔하게 정리해 책 속에 담아두셨다.

 

[2장 시로 관용구 익히기]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관용구(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보다는 어떤 표현을 할 때 어떤 조사나 어미가 관행적으로 붙는지 기능어와 실체어의 결합 관용구에 가까운 표현에 대한 내용이 있다.

조사와 결합하는 관용구와 어미와 결합하는 관용구로 나누어 각 예시문이 있다. 책의 목차를 보면 조사, 어미, 관용구, 기능어, 실체어, 파생어 등의 단어를 사용해서 독자가 어렵다고 느낄 수 있지만 제시된 시를 보면 어렵지는 않을까 했던 우려가 사라지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시를 읽으면서 국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관련 설명은 모두 시를 감상하면서 활용할 수 있게 집필되어 있고 어렵다가 아니라 ~ 이런 표현이었구나!’, ‘다양한 기능과 표현이 있네, 이럴 때는 이렇게 활용해야겠다하는 생각을 가지게 도와준다.

 

[3장 시로 수사법 익히기]에서는 평범한 문장이 시가 되어 가는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수단 중 하나인 수사법에 관한 내용이다. 학창 시절 국어 교과서에 등장한 시를 배울 때 수사법으로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에 관한 내용은 시험에 나오는 필수 문법이라 열심히 줄을 긋고 외우고, 본래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등등 공부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학창 시절엔 시에서 표현된 수사법을 통해 시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달달 외웠었는데, 지금은 이 책을 통해 어렵고 부담스럽고 싫은 공부 가 아니라 유려한 문장을 위해 사용된 멋진 우리말 단어, 유명한 시인의 시를 다시 한번 감상할 기회를 얻을 수 있어서 감사한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시로 국어 공부를 할 수 있었다.

 

역시 시험이라는 갇혀진 틀 없이 시를 바라보니 시가 이렇게 아름다웠나?!’ 하며 감탄을 할 수 있었고, 시어가 담고 있는 함축적 의미를 억지로 찾으려고 하지 않아도 앞 뒤 문맥상 추측으로 얼추 의미를 찾을 수도 있었다. 그리고 잘 사용하지 않았던 아름다운 단어들의 재발견!

이 책에 수록된 단어가 사용된 시의 표현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아이들에게 품격있는 언어 사용으로 어휘력을 한 층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겼다. 아이들에게 국어, 어휘력, 문해력을 강조하기 전에 나부터 국어를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시로 국어 공부, 세 번째 표현편!!! “, 마음에 든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마리북스 감사합니다.

 

#시로국어공부

#시로국어공부표현현

#남영신지음

#마리북스

#시어

#관용구

#시의수사법

#아름다운시

#단어의재발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