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은 아버지로서 평민을 챙겨주고, 평민은 귀족을 아버지로서의 충성과 예우로 대하는 ‘patron-client‘관계는 로마사회의 기초 윤리이자 사회의 골격이었다. - P77

파리보다 먼저 지하철을 설치한 영국만 지하철을 metro가 아닌 말 그대로 지하철, 즉 ‘The Underground‘라고 부른다.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는 대로 믿을 수 없는 상황이니, 믿을 수 있을 때까지 측정해보기 바란다.

사람들이 체계적으로 틀리는 방식을 통찰함으로써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편향은 주로 조정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을 때 일어난다.

우리의 경험상, 인지적 착각은 너무도 강력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굳게 보유해온 믿음이 틀렸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조차 꺼려하기 때문이다.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인간의 삶에 널리 퍼져 있는 광범위한 특징이다.

사람들은 무언가를 포기해야 할 때, 동일한 것을 얻었을 때 느끼는 기쁨보다 두 배로 큰 상실감을 느낀다.

현상유지 편향의 한 가지 원인은 주의력의 결여이다.

프레이밍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사람들이 다소 지각없이 수동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바쁘고 주의를 쏟을 수 있는 범위도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질문이 주어져도 그 틀을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면 답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통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개인이 반자율적인 두 개의 자아로 구성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계획하는 자아는 당신의 장기적인 번영을 증진시키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행동하는 자아의 강력한 의지와 장난, 감정에 대처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학생들 역시 맥락(context)의 사소한 변화만으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가장 중요한 유사점은 ‘중립적인‘ 설계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들이 충분한 주의를 기울였거나, 완벽한 정보를 가졌거나, 엄청난 인식 능력과 완벽한 자기 통제력을 지녔더라면 내리지 않았을 결정들 말이다.

자신은 최소한 다른 누군가보다는 더 나은 선택을 내릴 수 있다고 믿는다.

이콘의 기준에서 보면 사람들은 완벽한 예측을 해야 하는 존재는 아니지만, 편향되지 않은 예측을 해야 한다.

획일적인 지시라는 양 극단 사이에 다른 수많은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사람들은 다양한 경험, 충분한 정보,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에 현명한 선택을 내릴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0명 이상은 제대로 알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이런 집단이 없으면 인간은 고독감과 소외감을 느낀다. - P138

공동체는 온라인 모임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진정으로 번성하려면 오프라인 세계에도 뿌리를 내려야 할 것이다. - P140

우리는 길에서 일어나는 일보다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에 더 관심이 많다.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 수의 법칙으로 알려진 이론에 따르면, 시도 횟수가 늘어날수록 결과의 평균은 기댓값에 점점 가까워진다고 한다. - P149

기댓값은 서로 다른 시점에 온갖 비상사태가 벌어질 수 있는 복잡한 의사 결정 문제를 푸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 P155

확률은 이와 같은 위험성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된다. - P163

확률은 우리에게 인생의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