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와 데이지—는 함께 곡을 쓰면서 유혹의 미끼와 탈선하지 않으려는 노력 사이에서 밀고 당기는 이야기를 쓰고 있음을 깨달았어요. 약물과 섹스와 사랑과 거부, 완전한 혼돈 상태 말이에요.
그 상태에서 <마음에서 지우려고>가 나왔어요. 그 곡을 쓸 때 데이지와 내가 생각한 건, 마음은 정리가 됐는데 머릿속에선 지워지지 않는 생각에 관한 거였어요. - P309

빌리: 가사를 쓰면서 육체적인 고통을 연상할 만한 단어들을 썼어요. 통증ache, 멍울knots, 깨뜨리다break, 충격punch 등등. 그런 과정을 거치니 앨범의 주제에 무난히 맞아 들어갔어요. 자신의 본능에 맞서는 것이 얼마나 힘든 싸움인가 하는 거요.

데이지: "너에게 진실을 털어놓는다면, 단 하나, 네가 얼굴을 붉히는 걸 보고 싶어서지만 너는 충격을 견딜 수 없으니, 그저 침묵할뿐이지." 이 곡은 다 듣고 나면 여러 가지로 마음이 아파질 거예요.
어쩌면 꽤 심하게 아플지도 몰라요. "넌 날 깨뜨릴 수 있어 / 하지만나의 구원자는 날 희생양으로 삼았지."

빌리: 내가 쓴 가사인데도 뭘 말하려는지 설명하기 힘들 때가 있어요. 내가 무슨 뜻에서 이런 말을 썼나, 이런 말이 왜 머릿속에 떠올랐을까, 아니면 내가 써놓고도 뭔 소리인지 모르겠네, 이런 생각이들 때가 있어요.

데이지: 빌리와 둘이서 쓴 곡들……… (침묵) 빌리가 쓴 곡 다수가 그의 실제 감정을 담고 있단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요. 함께 만드는음악을 통해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있다는 나름의 확신이 들었어요. - P310

빌리: 그런 게 노래 아니겠어요? 어디서건 꺼내 곱씹어 볼 수 있는것. 자기가 처한 상황에 맞춰 원래의 의미를 바꿔 대입할 수 있는 것. 특별히 내 진심에서 우러나온 노래도 있고, 아닌 노래도 있고.

데이지 : 참 이상해요. 상대가 아무 말도 안 하는데, 아무 일 없다고 우기는데도 그런 상태가 숨 막히게 답답할 수 있다니. 그건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숨이 막힌다는 게 딱 맞는 말이에요. 정말 숨이 안 쉬어지는 느낌이거든요. - P311

데이지 : 지금 이 인터뷰도 그렇지만 아티스트가 노래를 통해 진실을 알리는 건 아무 보호장비 없이 세상 해 나서는 것과 같아요. 살면서 자기 생각에 갇혀 있을 때, 자기 상처만 줄곧 맴돌 때, 그게 주변 사람들 눈엔 훤히 보이는데 정작 자신은 눈치채지 못할 때가 많아요. 내가 그때 쓴 곡들은 암호와 비밀로 이루어져 있는 것 같지만, 내 생각엔 암호나 비밀하곤 아무 상관 없어요. - P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