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 수레를 탄 흙꼭두장군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31
김병규 지음, 이선주 그림 / 네버엔딩스토리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주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2012년 전 왕릉이 발견되는 사건을 다룬 이 흥미로운 이야기는 1993년에 국내 창작동화 중 최초로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공중파 TV에 방영되었다고 한다. 정말 이 책을 읽어보면 애니메이션으로 충분히 방영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책에는 유적의 ‘발굴’ 현장을 찾아내는 것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유적을 발굴하고 어떻게 그 유적의 시간대를 추적해나가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추론’에 이르기까지 역사 학습의 전 과정이 잘 보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다보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고고학에 대해서, 유적을 어떻게 발굴하게 되는지, 그리고 유적 발굴 현장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게 되기 때문이다.

 

경주의 한 시골 마을에서  목화밭을 일구던 농부의 쟁기날이 두 동강 나면서 2012년 동안 잠들어 있던 왕릉의 비밀이 깨어난다. 발굴단에 의해 열린 무덤 속에서는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정교하게 만들어진 갖가지 흙인형들이 나온다. 그리고 그 안에 있던 흙꼭두장군은 자신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빈수 아버지 몰래 빈수네 집으로 따라와서 빈수와 함께 모험을 시작하게 된다. 빈수는 흙꼭두장군과 말을 하는 유일한 사람으로, 이미 오래전 흙꼭두장군은 만들어질 적에 빈수를 만날 운명이 정해져 있었던 것이다. 빈수를 찾아온 흙꼭두장군은 역사학자가 놓치고 있는 왕릉의 비밀을 빈수에게 하나씩 알려 준다. 그리고 둘은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중, 유물을 노리는 도굴꾼들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때부터 한꽃님왕의 무덤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또 무덤을 지키기 위한 빈수의 도전이 시작된다. 

유적 발굴 현장에 대해 생생하게 묘사하는 부분이나 어떤 식으로 유물이 발굴이 되는지, 그리고 도굴꾼들은 어떻게 유물을 훼손하려고 하는지, 또 드러난 유물에 대한 역사의 추적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 책을 읽다보면 하나하나 상세히 알게 된다. 그래서 고고학자를 꿈꾸는  아이들이나 역사학자를 꿈꾸는 아이들에게 이 책은 정말 인기만점일 듯 하다. 물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 책을 읽다보면 누구나 역사의 현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흙꼭두장군과 빈수를 통해, 그리고 다른 아이들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생생하게 역사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끌어내는 것이 이 책의 아주 중요한 강점이다. 아이들에게 정말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