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희의 방 푸른도서관 41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산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는 여름날의 무성함과 찬란함이 아니라 겨울날의 초라함과 힘겨움에 담겨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달밭마을의 느티나무처럼 밧줄에 가지를 의지한 채 눈바람을 맞는 일이, 그것을 견디는 일이 인생일 것이다. 내가 행복을 느끼는 순간에도 삶은 그럴 것이다. (본문 296p) 

<소희의 방>은 유명한 성장소설 <너도 하늘말나리야>의 후속작입니다. 제가 너무나 좋아하는 작가 이금이 선생님께서, <너도 하늘말나리야>를 쓴 이후에 많은 질문들을 받으셨다고 하네요.  "달빝 마을을 떠난 소희는 어떻게 됐어요?"라고 말이에요. 그래서 생각해보셨다고 합니다. 속이 깊고 야무지지만, 결핍과 상처로 조숙해진 아이 소희를 말이에요. 자존심도 강하고 사려깊은 소녀 소희는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작은집을 택하고 달빝마을을 떠나게 되었는데, 과연 소희가 꿋꿋하게 잘 살고 있을까 생각하시면서 이 소설을 쓰게 되셨다고 합니다.  

또래 아이들과 똑같이 지내고 싶어하지만 환경적으로 그렇지 않았던 소희의 내면에 대해 새롭게 고찰해본 것이라고 할까요. 

<너도 하늘말나리야>를 읽을 때와 또다른 감동이 이 책을 읽으면서 물밀 듯 밀려왔어요.
읽는 내내 이금이 선생님은 어쩌면 이렇게 아이들의 내면을 잘 파악하고 보여주실까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습니다. 읽는 내내 소희의 감정이, 파르르 떨리는 마음의 작은 파동까지도 전해져 오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알게 모르게 커버려서, 너무 세상을 잘 알아버려서 늘 모범생으로 힘겹게 살아오던 소희의 내면을 보면서 참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그런 소희에게 방이 생겨서, 그리고 엄마를 찾게 되어서, 가족이 생기게 되어서, 친구들이 생기게 되어서 책을 덮으면서 기분이 내내 좋았습니다. 

물론 그 과정이 쉽지는 않았지만요. 새로 자신의 방에 적응하기까지, 너무나 떨어져서 그 간격을 회복하기가 어려웠던 엄마와의 사이를 회복하기까지, 또다른 동생인 우혁과 우진과 사이좋은 남매간이 되기까지, 그리고 재경이와 친구들에게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기까지 정말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답니다.

여기에는 소희뿐만이 아니라 엄마, 그리고 우혁과 리나, 디졸브의 어려움도 들어있고요. 사실 내면을 들여다볼 때 상처가 없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우리는 누구나 예외없이,  비록 경중은 다를 지라도, 모양도 제각기 다를지라도 하나씩은 상처들을 지니고 살아가게 되니까요.

그래서 아마 <소희의 방>을 읽는 누구라도 이 책에 공감을 하지 않을 수 없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소희의 이야기는 어찌보면 내 아이의 이야기이고, 내 친구의 이야기이고, 나의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소희가, 그리고 주변의 가족과 친구들이 더불어 성장하는 모습이 따스함을 주는 소설입니다. 
아직 읽어보시지 못한 분들에게는 적극 추천하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