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 박한별 동심원 4
박혜선 지음, 강나래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풍당당 박한별]은 한별이처럼 응달에 숨어 있는 아이들에게 띄우는 환하고 눈부신 시엽서이다. 응달 아래에서 나오기를 꺼려하는 아이들은 이 동시집을 읽고 위안과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아픔도 멋지게 이겨낼 수 있는 단단한 마음이 자신에게도 있음을, 지금의 아픔이 훗날 다른 수많은 아픔의 작은 한 조각임을 알게 될 것이다.
<출판사 소개 글>

단순한 동시집인 줄 알았다. 그런데 단순한 동시집이 아니었다. 
박한별이라는 아이가 엄마 아빠의 이혼을 딛고 단단하게, 아니 위풍당당하게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을 그린 시로 쓴 동화였다.
맞다, 그게 정확한 말이다. 시로 쓴 동화, <위풍당당 박한별>

한별이는 엄마 아빠의 이혼으로 시골 할아버지 댁으로 내려와 살게 되는데, 늘 마음 한 구석이 썰렁한 그런 아이로 살았다. 

빈 화분이었을 때는 
그냥 화분이었느데
봉숭아 모종을 옮겨 심었더니
봉숭아 화분이 되었다
 <중략>
그냥 새댁이었다가
나태어나고 한별이 엄마가 된 우리 엄마
지금은 내 이름 말고 
다른 아이 이름을 달고 있을 엄마

- 누구네 엄마일까?

알약 먹을 때처럼
 물 한 모금으로
 삼켜 버렸으면 좋겠어

<중략>
엄마
엄마
엄마라는 말까지

삼키고 나서 끝인 것처럼 
다시는 생각 안 났으면 좋겠어
- 생각을 꿀꺽 삼키다

동시집 앞부분에는 이렇게 엄마 아빠의 이혼 후 할아버지 댁에 내려와 살면서 엄마와 아빠를 그리워하는 한별이의 마음이 뚝뚹 묻어난다.

그러나 이렇게 슬프고 울기만 하면 위풍당당 한별이가 아니다. 한별이는 자연 속에서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살면서 점점 상처를 치유해나간다.


엄마 없다고 놀리는 현용이 끝까지 따라가서
등짝 한 대 멋지게 날려준
나, 박한별이야

위풍당당 박한별!
 - 위풍당당 박한별 중에서 

그리고 열심히 자연과 더불어 친구되며 씩씩하게 살아가는 한별이의 모습은 다음 시에서도 잘 들어난다.

경백이네 개 
경백이네 할머니처럼
사람만 보면 반가워 팔짝팔짝
우리 집 미루
나를 닮아서
만날 밖으로만 쏘다닌다.
- 개도 주인 닮는다

처음 읽었지만 시로 읽는 동화도 꽤 재미있다. 짤막한 동시들에서 어쩜 이렇게 한별이의 모습이, 마음이 잘 그려질까.
아이랑 같이 맞대고 읽으면서 내내 신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