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홍도, 조선을 그리다 ㅣ 푸른도서관 31
박지숙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6월
평점 :
김홍도에 관한 다섯 편의 이야기가 연작 소설 형태로 되어 있는 소설집이다. 김홍도에 관해서는 정작 아무 것도 모르고 있었기에, 약간의 궁금증과 함께 읽어내려가게 되었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흥미로워졌다.
사실, 그의 작품으로만 대하고 알고 있었던 화가 김홍도에 대해서 작가의 상상력에 힘입어 그림속에 나타난 인간 김홍도의 모습을 알게 된다고나 할까?
다섯 편의 이야기가 잘 어우려져서 그림을 그리는 화가이기전에 인간 김홍도의 면면을 알 수 있고, 또 그의 그림 속에 어떠한 면모들이 나타났는가도 잘 알 수가 있다.
[김홍도, 무동을 그리다]에서는 광대 아이 들뫼와 순님이를 통해 진정한 그림에 대해서 고민하는 홍도의 모습을 보게 되고, , [천지개벽 서당에서]는 사람은 누구나 다 귀하다는 것을 깨닫고 자식에게는 반드시 학문을 익히게 하고 싶다는 김서방과 그의 아들 차돌이, 그로 인해 분란이 일게 되는 서당과 마을의 모습을 그려내서 조선시대 신분제도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하는 꺼리를 던져 준다. 넓은 마음으로 차돌이를 품어주는 훈장님, 그리고 신분의 차별 제도앞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유유부단한 중인 계급의 홍도와 싫지만 거부하지 못하고 약한 자 앞에서는 강해지고, 강한 자 앞에서는 약해지는 학동들의 모습들을 통해 당시 뛰어넘기 힘들었던 신분차별과 그 와중에 순응하고 살아가는 힘없은 유약한 이들의 모습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럼에도 훈장님같은 분을 통해 소망을 갖게 하는 [천지개벽 서당에서] 글은 그의 잘 알려진 작품 <서당도>를 더 훈훈하게 보게 만든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에선 김홍도의 오만한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는 거지 노파와 화원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 관계를 고민하고 풀어나가는 좀더 성숙한 홍도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가 그린 <경현당 수작도>에 얽힌 이런 이야기를 보고 있자니 그 그림이 더욱 궁금해졌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에서는 김홍도가 현감으로 가서 근무했던 연풍 고을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극도로 가난한 민초를 돌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홍도는 결국 지방의 실세였던 안말 대감의 모의에 의해 현감직을 박탈당하고 죄인으로 한양으로 다시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홍도는 사람을 사랑하는 모습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뒤이어 나오는 노년의 김홍도 이야기는 그 아들의 이야기와 더불어 나온다. 사랑하는 아들의 월사금을 마련하기 위해 노년의 병약한 몸으로 그림을 그려 파는 늙은 화가의 모습은 저절로 눈시울이 적셔진다. 추성부도에 얽힌 이야기를 읽으면서 추성부도를 보자니, 그의 말년의 모습이 그려지면서 더욱 그림이 생생하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