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추 먹고 맴맴 - 조상의 슬기와 얼이 담긴 전래동요 ㅣ 처음어린이 1
김원석 지음, 정승희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고추 먹고 맴맴]은 동화로 읽는 우리나라 전래동요라는 부제답게 우리가 익히 알고 있거나 예전에 즐겨 불렀던 그런 전래동요들을 동화 속 내용으로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책이다. 특히 더 좋았던 점은 전래동요의 분위기를 동화 속에서 잘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래동요란 것은 실상 우리의 삶과 맞물린 것이다. 우리 어린 시절 아스라이 추억 속에 있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삶의 한 켠에 자리잡고 있던 전래동요이기에 삶의 모습과 같이 보여주어야 그 전래동요의 깊은 맛과 멋을 비로소 알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을 기획하신 김원석님의 서문에서 "아주 낯선 동화들이 있다면 그것은 전래 동요가 불렸을 당시의 상황을 재현하느리가 그런 것이며, 그런 상황이 곧 우리의 어제이다"라고 쓴 부분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또한 전래동요를 통해 우리 조상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되며, 과거에 뿌리를 내리고 힘찬 내일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했는데, 이 부분 역시 우리에게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 우리의 옛 것을 잘 익히고, 또 발전시켜서 지금과 잘 맞물리게 하는 것 이것이 정말 필요한 일일 것이다.
전래동요 총 40편을 각각의 소주제로 나누어서 동화와 함께 보여주는데, 낯익은 동요가 나오면 정말 반가웠다. <엄마 사랑>편에 나오는 두껍아 두껍아, <가족 사랑>에 나오는 전래동요인 둥개야 둥개야는 우리 아이도 잘 아는 동요여서 그런지 더 유심히 보았다. 특히 꼬부랑 할머니가 노래는 연극에서 접한 적이 있어서 아는 체를 하더니 금새 연극에서 들었던 노래를 따라서 열심히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 방귀 꿨다 뽕나부, 십 리 절반 오리나무 같은 동요와 연관도니 동화를 읽어주었더니 유치원에서도 배웠다고 하면서 흥미있게 아이가 들었다.
까막까치 떴다, 쥐야 쥐야 새앙쥐야 , 나비 나비 꽁꽁, 앞니 빠진 덧니박이, 고추 먹고 맴맴, 동고바리 쨍쨍, 싸라기 받아 닭 주고, 비가 오네 비가 오네, 비야 비야 오너라, 참새는 약기도 약다, 꿩꿩꿩 꿩서방 등의 노래들은 조금 생소했지만 동화 속에서 재미있게 보게 된 노래들이다.
어떨 때는 뭉클하게, 어떨 때는 마음이 좀 싸아해지기도 한 것은 동요 안에 들어있던 슬픈 이야기때문이었다. 앞니 빠진 덧니박이 내용을 읽을때는 쿡 하고 웃음도 나왔다. 이 동요는 잘 외워두었다가 둘째가 이빨 빠지는 날 열심히 불러주어야겠다.^^
앞니 빠진 덧니박이
우물 앞에 가지 마라
두레 꼭지 때꼭 하면
붕어 새끼 놀라 뜬다
쎄쎄쎄 아침 바람 찬 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이 노래는 어릴 때 정말 많이도 불렀는데, 요즘의 아이들도 이 노래를 잘 알고 있어서 반가웠었다.
그런데 때로는 전래동요라서 그런지 내가 알던 것과는 조금 다른 부분도 있어서 갸웃거리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우리의 삶의 담겨있는 전래동요를 이렇게 동화로 복원하여서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이 책이 참으로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