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도시를 디자인하다 1
정재영 지음 / 풀빛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면서 철학과 도시 디자인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 라고 생각한 것이 바로 나의 생각의 한계이자 철학에 대한 한계였다, 부끄럽게도 말이다.

철학의 철 자도 모르는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철학 책을 읽고 싶어졌다면 이 책에 대한 소감이 될래나 싶다.
그만큼 책이 쉽고 재미있다. 그래서 책띠에 이런 문구가 적혀 있었나 보다.
"생각도 뒤집고 철학도 뒤집고 거꾸로 읽는 서양 철학사! 철학과 유럽 도시의 유쾌한 만남 "

책을 넘겨가면서 나는 슬슬 저자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이렇게 글을 풀고 있는 저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알고 싶어졌다. 그래서 다시 서문으로 돌아왔다. 

"생각하는 힘으로서의 철학은 시간의 장벽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철학의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다른 한편 철학은 시대를 반영한다. ... 그래서 특정 시대, 특정 문명에는 그에 맞는 철학 체계가 있다.

나는 이 책을 그림책이라고 했다. 이 책을 유럽의 도시를 여행하는 여행책이라고도 했다. 또 타임머신을 타고 떠나는 생각의 시간 여행이라고도 했다. 이 모든 것은 철학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쉽게 전달한다는 것은 쉬운 말로 어려운 철학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나는 가장 쉽게 철학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법은 동사로서 철학하는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다. 동사로서의 철학에서 즐거움을 느낄 때, 생각하는 힘이 커지고 생각하는 과정도 명징해진다. 바로 그때 철학이 가장 쉽게 전달된다고 믿는다. "

그래서 저자는 독자에게 이렇게 제안한다. 가벼운 마음으로 산뜻하게 떠나자고, 가슴만 크게 열자고, 그렇게 해서 철학의 즐거움을 맛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이다.

책을 읽다보면 저자의 말대로 철학의 즐거움을 맛보게 된다. 그저 부담없이 책만 읽었음에도 왠지 철학에 대한 호감이 생기기 시작한다. 

그의 철학 이야기는 씨줄과 날줄이 잘 엮어져가는 한 필의 옷감 같다. 넘나듦이 자유롭고, 진폭도 크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따분하다거나 지루하다거나 할 새 없이 이 도시 저 도시를 구경하게도 되고, 이 사람 저 사람을 만나보게도 되고, 또 마치 내가 그 도시에 서있는 양, 비엔나 커피를 마시고 있는듯한 착각에 빠지게 되기도 한다.

물론 중간중간 잘 모르는 철학 이론이라던가 용어가 나오기도 하지만, 그래도 계속 책을 읽어갈 수 있는 것은 위에 언급한 대로 철학 이론외에 부수적인 것들, 즉 평소 자신의 생각, 역사 속의 도시, 도시의 역사, 그리고 역사 속에 실재했던 철학에 대한 논의들이 쭉 이어져 나오면서 읽는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책을 읽고 나니 2편도 어서 보고 싶어진다. 비엔나와 파리, 그리고 피렌체와 암스테르담을 거쳐 에든버러까지 다녀오고 나니 이젠 여행의 즐거움을 참을 수가 없어서(?) 다시 새로운 도시로 가려고 채비를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