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 천재 클레멘타인 동화 보물창고 24
사라 페니패커 글, 말라 프레이지 그림,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몰입이 2008년의 화두였음을 모르는 이가 없을 것 같다. 그만큼 몰입이라는 단어는 우리 사회에서, 특히 교육계에서 큰 이슈였다. 몰입 교육, 몰입 영어,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몰입이라는 단어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몰입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린다. 그래서 더 유쾌한 책이다. 표지 그림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것도 그래서인것 같다.  사실 새로운 정의를 내린다 하면 무슨 딱딱한 이론서 같다는 느낌이 드는 것 같아서 다시 정정하자면, 몰입이 무엇인지에 대해 새로운 시각에서 보여주는 한 아이의 이야기이다라고 말하면 될 것 같다.

클레멘타인은 몰입을 너무나 잘 하는 아이이다.

불공평한 건 미술실을 다 둘러봐도 매번 진짜로 집중하는 건 나밖에 없다는 거에요. 그래서 한창 '국기에 대한 맹세'를 암송하는 순간에도 난 모두에게 말할 수 있었어요. 식당 아줌마가 수위 아저씨의 차에 앉아 있고, 둘이 뽀뽀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요. 나 말고는 아무도 이 끔찍한 장면을 보지 못한 거에요. 아무도 창밖에 집중하지 않으니까요!
얼마 후 내가 스테이플러를 돌릴 차례가 돌아왔어요. 내 눈엔 미술 선생님 스카프에 묻은 누런 얼룩이 또렷이 보였습니다. 눈을 가늘게 뜨고 보면 꼭 펠리컨처럼 보이는 얼룩이었지요. 그런데 나 말고는 아무도 그걸 눈치채지 못햇답니다. "클레멘타인, 집중하라니까." 미술 선생님이 다시 한 번 말했어요. 하지만 나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집중하고 있었어요.
나는 마거릿의 빈 의자에 집중하고 있었지요. ....(중략)

집중을 너무 잘하는 클레멘타인은 그래서 산만하다는 소리를 들어야 했고, 늘 선생님께 집중하지 않는다고 혼났다. 그러나 클레멘타인은 집중하고 있었다!

남이 보기엔 산만하지만, 클레멘타인은 나름대로 자신이 하고자 하고, 보고자 하는 것에 집중을 하고 있는 거였다.  다행히 클레멘타인은 학교에서는 선생님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지만, 엄마 아빠는 이런 클레멘타인을 이해하고 있었다.

"아빠는 내가 흥미로운 것들을 찾아내는 데 남다른 재주를 가지고 있대요. 사실 아빠는 흥미로운 것들을 찾아내는 게 운동경기라면 난 금메달을 목에 가득 걸었을 거래요. 아빤 그게 내 미래를 위해 아주 좋은 징조라고 했어요. 아빠는 내가 훌륭한 탐정이 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어떤 직업을 갖든 그 재주가 도움이 될거라네요.. 엄마는 그게 훌륭한 화가가 될 수도 있다는 의미래요. 훌륭한 작가가 될 수 있고요. 작년, 우리 학교에 작가가 왔었어요. 그 작가도 집중하라고 말을 햇어요. 그러나 선생님에게 집중하라는 뜻은 아니었어요.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집중해야 그것에 관해 글을 쓸 수  있다는 말이었어요. 그리고 그 작가는 나를 똑바로 바라보았고, 좋은 것을 발견하게 되면 잊어버리지 않도록 써놓으라는 말을 했어요."

아빠는 산만하다고 비난하지 않았고, 흥미로운 것들을 찾아내는 데 선수이며 금메달감이라고 칭찬했다. 그리고 엄마도 훌륭한 화가나 작가가 될 소질이 있다고 격려한다. 아마 그래서 클레멘타인은 자존감이 생기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도 생겼을 것이다. 그때문에 마거릿을 위로해주려고 본인도 머리를 온통 자르지만 말이다.

작가 선생님도 집중하라고 말하지만, 그것은 선생님께 집중하라는 말이 아니라 주변의 사물이나 일들에 집중하라는 이야기였다. 창의적인 사고와 발상은 이런 집중에서 생겨나는 것이지 않을가?

그런데 나 또한 예전 사람이어서 아이가 산만하게 보이면 걱정하고, 혼부터 먼저 낸다, 아마 엄마들의 공통점일 것이다. 클레멘타인의 부모처럼 아이의 산만함을 보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단점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장점을 먼저 보고, 격려해주어야 하는데 말이다.

클레멘타인은 자신이 늘 지적당해서 "어려운 쪽"자식이라고 생각하고, 몰래 파티를 준비하는 엄마 아빠의 말을 잘못 알아들어서 자신이 어려운 아이라서 버려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은 멋진 생각으로 비둘기를 퇴치해서 그 상으로 파티를 엄마아빠가 계획한 것이었는데 말이다^^. 

아이의 솔직한 시각으로 글을 써내려가서 무엇보다도 아이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감능력이 생기는 것 같다.  어른이 이 책을 읽으면 아이의 순수한 모습에는 나름대로 이유도 들어가 있다는 것, 아이가 산만한 것이 아니라 집중하고 호기심이 많다는 것을 알 게 될 것이다. 아이는 어떨까? 아이들이 이 책을 읽으면 유쾌하고, 자신과 닮은 꼴인 클레멘타인을 보면서 위로받지 않을까? 그리고 안도의 한숨도 내쉴 것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