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별의 집 - 엄마가 쓴 열두 달 야영 일기
김선미 지음 / 마고북스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바람과 별의 집>은 "한 달에 한 번 자연 속에 집을 새로 짓는” 야영을 기획하고 실천에 옮긴 저자가 가족과 함께한 열두 번의 여정을 꼼꼼하게 옮긴 기록물이다.

저자는 책에서 바람과 별의 집을 이렇게 소개한다. "우리가 자연 속에 짓는 집은 어디든 원하는 곳에서 마음대로 펴고 접을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다. 하지만 한 평도 안 되는 그 작은 텐트는 전국 어느 곳이나 아름다운 풍경을 우리 집 정원으로 만들 수 있는, 자연을 향해 무한하게 열려 있는 집이다. 그래서 사실은 세상에서 제일 큰 집이다.”라고 말이다.

이들 가족은 한 달에 한 번씩 바람과 별의 집을 세웠다. 변산반도 격포에, 섬진강 매화마을에, 청명에는 보리가 일렁이는 만경평야에, 입하에는 청송 주왕산에, 망종에는 충주 월악산에, 소서에는 태안 파도리에, 그리고 입추에는 울릉도에, 백로에는 경주 토함산에, 상강 즈음에는 찬 서리가 하얗게 내린 포천 산정호수에, 그리고 입동에는 원주 치악산에, 동지에는 춘천 중도유원지에, 대한에는 유채밭이 봄 채비를 먼저 알리는 제주에 말이다. 이렇게 절기에 따라서 집을 세운 이유는 물어보지 않아도 알 것 같다. 무엇보다도 자연의 변화를 자연 속에서 자연스럽게 느끼라고 그랬던 것이리라. 

이분의 이력도 재미있다. 원래는 산악잡지 기자이셨는데, 이 직업 또한 남편이 확실히 밀어주고 땡겨주어서 가능하게 된 직업이라고 한다. 이렇게 기자가 된 이후에는 오히려 남편분보다 더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속에서 살게 되었다고 하니 참으로 이 가족의 자연 사랑은 남다른 것 같다. 

야영은 일상의 온갖 복잡한 짐들을 내려놓고 맨몸으로 자연과 만나는 행위이며, 함께 야영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깊숙이 들어갈 수 있는 기회이기에, '엄마 아빠가 세운 마지막 둥지’와도 같은 텐트 속에서 온 가족이 살을 맞대고 눕는 야영을 꿈꾸었던 저자는 가정이라는 휴일 없는 일터에 묶여 있는 이 땅의 엄마들에게 일상에서 시도할 수 있는 소박하지만 꾸준한 새로운 여행의 형태를 제안해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런가, 이분의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마치 옆에서 여행 갔다온 이야기를 친구가 하고 있는듯한 착각에 들곤 했다. 솔직하게 풀어내는 가족들의 이야기, 그 속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들의 공유와 넘침이 책을 읽는 내내 나에게도 똑같이 밀려온다.

 얼마전 지인들과 캠핑을 한 적이 있다. 대학때 수련회 가서 텐트 치고 잔 이후 십여년 만에 처음인 캠핑. 가족과 지인들과 함께 수런수런 대화를 나누고, 자연을 느끼고, 그 속에서 웃음짓는 아이들을 만나고, 모닥불 피워놓고 함께 불빛을 쬐고 있는 것만으로도, 말을 굳이 하지 않아도 내내 기분좋고, 마음이 따뜻했다.

큰아들의 성화로 처음 저질러본 캠핑은 그렇게 우리 가족을 들뜨게 했다. 새벽녘 일어나서 바라본 하늘에서 쏟아지는 별을 보며 얼마나 감탄을 했는지 모른다.

둘째도 신이 나서 하루종일 텐트를 들락날락했다. 그래서 저자의 이야기가 더 가슴에 와닿았다.

이분들이 가본 곳을 그래서 더 꼼꼼히 보게 되었다. 이젠 남편이 없어도 아이들 데리고 캠핑에 갈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도 배가되었다(이 글 보면 우리 남편은 서운할래나?^^) 이분의 전작인 <아이들은 길 위에서 자란다>도 읽어보고 싶어진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캠핑하던 그곳이 떠오른다. 가을이 더 가기 전에 한 번 더 떠나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