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둑고양이와 문제아 - 제6회 푸른문학상 동시집 ㅣ 시읽는 가족 7
김정신 외 지음, 성영란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예전에는 동시하면 그냥 예쁜 말로 된 예쁜 시를 떠올렸다면, 요즘 동시집에는 그야말로 솔직담백하고 정겨운 아이들의 웃음과 울음이 느껴진다.
푸른문학상 수상작인 이 동시집 <도둑 고양이와 문제아>도 예외는 아니었다. 동시집을 읽다가 때로는 미소짓고 때로는 마음이 아파왔던 것은 바로 이 시집에서 솔직하고 때묻지 않은 아이들의 마음이 저절로 느껴졌기 때문이엇다.
나만 미워하는 엄마
길을 가다 동생이
"엄마, 개미!"하면
"개미가 우리 미소랑 친구하고 싶은가 보네."
하며 동생 옆에 나란히 앉는 엄마
길을 가다 내가
"엄마, 지렁이!"하면
"빨리 안 따라오고 뭐 해!"
하며 눈 흘기는 엄마
(중략)
복수
어느 날,
내가 엄마가 된다면
난 아이를 혼내지 않을 거야.
공부하라는 말도 안 하고
반성문 쓰라고 하지도 않을 거야
심부름도 시키지 않고
소리도 지르지 않을거야
나 같은 아이가 공부를 잘하고
어른들께 칭찬을 받으면
엄마가 나에게 물어 보겠지?
"대체 아이를 어떻게 키웠어요?"
그럼 난 이렇게 대답할 거야.
"민수 엄마 반대로 키웠죠."
이 대목에서 정말 뜨끔해진다. 우리 아이도 이렇게 생각할까? 다시 한 번 엄마로서의 나를 돌아보게도 되고...^^
놀이터
집에 가도
불 꺼진 우리 집
엄마도 아빠도 아직 안 계셔
어둠이 덮어오지만
정말 집에 가기 싫어
아파트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조금만 더 놀아줬으면
조금만 더 말동무 돼 줬으면...
놀이터에 혼자 앉아있는 아이의 마음이 내게 그대로 전달된다. 이런 시를 쓰신 분들은 어떻게 아이들의 마음을 이리도 잘 알고 쓰셨을까? 동심의 시선으로 쓰인 시들을 읽다보면 마음이 싸아해지기도 하고, 빙그레 웃음이 나기도 한다. 이외에도 많은 시들이 나의 마음에 콱 와서 꽂히기도 하고 저절로 미소가 나오게끔 하기도 했다.
<붕어빵 아저씨 결석하다> 시집도 무척 아이가 좋아했던 시집인데, 이 시집도 역시 그럴 것 같은 예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