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신 파랑새 사과문고 64
김소연 지음, 김동성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소곳한 아이의 모습이 담긴 표지가 아주 인상적인 책이었다.  그러나 책을 읽어내려가다보니 주인공들의 면면이 더 인상적인 책이었다.

<꽃신>에서는 역모죄로 몰려 하루아침에 몰락한 판서집 딸인 선예 아가씨와 역병으로 고아가 된 달이 이야기가 나온다. 서로 약간의 긴장과 대립을 가지고 만난 같은 나이의 두 여자아이는 그러나 서로의 처지와 생각들을  마음으로 이해하고 배려하게 된다. 꽃신외에는 신지 않겠다는 선예 아씨나 도망갈 때 필요한 옷가지를 구해주는 대신 꽃신을 달라고 퉁명스럽게 말했던 달이였지만, 서로의 자존심을 존중하고 이해하게 되면서 화해하게 된다. 민들레꽃을 넣어서 열심히 꽃짚신을 삼은 달이. 그리고 자신의 모든 것이나 다름없는 보물이자 아버지의 유물인 꽃신을 기꺼이 달이에게 내주는 선예, 마지막에 나오는 두 아이의 모습은 그래서 아름답다.

< 방물고리>에서는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덕님이와 그리고 그런 덕님을 딸처럼 옆에서 보이지 않게 도와주는 김행수와 그리고 덕님이가 좋아하는 흥석이라는 주인공들을 통해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엄마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열심히 돼지를 키우는 덕님이, 과년한 처녀지만 구정물을 구하러 다니며 억척스럽게 사는 덕님이를 흥석이는 마땅치않게 생각하지만, 후에 흥석이는 덕님이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오라버니 역활을 하게 된다. 그나마 있는 친척들이 어머니의 죽음을 틈타서 집도 빼앗고 돼지도 빼앗으려고 하자 흥석은 덕님이를 도와 돼지를 팔게 해주고, 그 돈으로 덕님은 장삿길에 나서게 된다. 어서 돈을 벌어서 남의 땅에 묻힌 아버지, 어머니를 이장시켜드리기 위해서 말이다. 그래서 방물고리는 덕님이의 희망이고, 소중한 보물인 것이다. 그리고 그런 덕님이를 말없이 도와주고, 바른 길로 이끌어주는 김행수도 사실 이 시대에서 정말 필요한 그런 사람이다.

<다홍치마>는 귀양 온 양반과 큰돌이의 사연이다. 큰돌이의 부모님은 못된 양반 때문에 쫓겨사는 처지이다. 그러나 귀양 온 양반은 큰돌이를 도와주고, 글을 깨우치게 해준다.  상놈이라 홀대하지 않고, 다른 이들과 똑같이 대해주며, 큰돌이의 동생이 마마에 걸리자 위험을 무릎쓰고 막골로 들어가 동생의 병을 고쳐준다. 그 일로 인해 더 큰 죄목이 생겨서 섬으로 유배되지만 말이다. 그분이 가장 귀하게 여기던 다홍치마를 들고 생전 처음으로 자신의 마을을 벗어난 큰돌이는 그분에게 다홍치마를  드리려고 갔다가 딸을 위해 다홍치마에 시화를 그린 그분의 마음을 알게 되고, 그분을 대신하여 황해도 해주에 사는 딸에게 다홍치마를 전해주기 위해 길을 떠난다. 여기서도 천민이지만 동일하게 인간으로 대해주는 양반의 올곧은 개혁정신과 마음뿐만이 아니라 그런 분을 위해 어려운 길도 마다하지 않고 두려움에 맞서 길을 떠나는 큰돌이와 그런 큰돌이를 응원해주며 사람은 도리를 지키며 살아야 한다는 금순이의 말이 서로 맞물려서 훈훈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서로를 도와주고 이해해주는 배려의 마음, 서로 정이 통하고 도리를 지키는 이들의 이야기는 읽고 나서도 뭉클하다.

더군다나 곳곳에 등장하는 그림 또한 돋보인다. 엄마 마중의 그림으로 유명하신 김동성님의 그림은 푸근하면서도 어딘가 모를 깊이가 느껴진다. 그래서일까?  글과 그림이 어우려져 더 여운이 남는 그런 책이 바로 <꽃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