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쫓는 아이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이미선 옮김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는 내내 손에서 놓기가 어려웠다.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기분을 느낀 것이 참 오랜만이다. 이 책의 흡인력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이 책은 단순히 성장소설에 그치지 않는다. 책의 진폭이 너무나 넓어서 진폭 속에서 리듬을 찾아가는 것 자체가 흥미로운 일이었다. 아프카니스탄을 배경으로 해서 펼쳐지는 일련의 일들은 아미르라는 한 소년의 성장을 큰 축으로 해서 둘러싼 모든 시간적, 공간적 배경, 그리고 인물들을 주변으로 마치 씨줄과 날줄처럼 엮어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미르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를 여의고, 그의 집에 있었던 하인 알리의 아들 하산과 항상 모든 것을 같이 하게 된다. 하산은 하자라인인 알리의 아들이었고, 아미르와 마찬가지로 태어난 지 얼마 안되어서 어머니를 잃었다. 물론 어머니가 가출하였기 때문이지만 말이다. 하산이 가장 먼저 한 말은 아미르였을 정도로 둘을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였고, 같은 젖을 먹고 큰 사이였다. 그래서 그런지 이들 둘 사이에서는 말이 필요없을 때도 있었다. 언제나 하산은 아미르의 충실한 심복이었고, 알리 또한 아버지 바바의 충실한 하인이었다. 아버지 바바는 이들을 가족처럼 여겼으며, 언제나 똑같이 하산과 아미르에게 대해주었다. 항상 하산의 생일을 챙겨주었고, 어디엘 가든지 하산을 아미르와 함께 데려가려고 했다. 바바는 항상 아미르가 굳건하기를 바랬지만, 아미르는 심약했고, 늘 아버지의 사랑을 갈구했다. 그에 반면 운동 신경도 뛰어난 하산이 바바의 인정을 받으면 남몰래 질투하면서 마음을 졸이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날, 연날리기 대회에서 아미르는 대망의 일등을 하게 되어 바바와 라힘 칸의 마음을 기쁘게 한다. 아버지에게 인정받을 수 있어서 어느 때보다도 아미르는 기뻤다. 마지막 남은 과제, 끊어진 파란 연을 찾으러 가는 데 있어서 하산은 주인을 기쁘게 하기 위해 바람같이 달려갔고, 그런 하산을 쫓아간 나쁜 아이들 - 아세프와 그 일당들 - 은 하산에게 몹쓸 짓을 하면서, 아미르와 하산은 절대 친구가 아니며, 아미르는 필요에 의해서만 하산을 친구로 여긴다고 말한다. 그러나 하산은 아미르를 위해, 연을 지키기 위해 엄청난 희생을 치르고, 그 광경을 목격한 아미르는 너무나 겁이 나서 그만 그 자리를 피하고 만다. 그 뒤로 그것이 항상 그에게 찔림이 되어서 아미르는 하산을 멀리 하고, 급기야 도둑의 누명을 씌어서 알리와 하산을 쫓아내게 된다. 그뒤 소련군에 이어 쿠데타를 통해 입성한 대령의 세계가 되고, 목숨의 위협을 느낀 바바와 아미르는 집을 라힘칸에게 맡긴 채 파키스탄을 건너 미국으로 망명오게 되며, 거부로 평생을 고생하지 않고 살아왔던 바바는 그곳에서 아들 아미르를 위해 주유소에서 일하며 결국 암으로 죽고 만다. 아미르는 결혼을 하고, 작가로도 성공하지만 여전히 과거의 기억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하산에 대한 죄책감으로 힘든 나날을 보낸다. 그러다 받게 된 라힘 칸의 전화를 통해 파키스탄으로 날아간 아미르는 하산의 아들 소랍이 고아원에 있으며, 그를 찾아오라는 부탁을 받고는 과거에 대한 속죄로 결국 소랍을 찾아 위험한 아프카니스탄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결국 소랍을 찾아내긴 하지만, 소랍의 주인인 아세프를 만나 옛날에 대한 극심한 보복을 당한 채 만신창이가 되어 간신히 소랍과 함께 탈출에 성공한다. 소랍은 처음에는 그에게 마음을 열었지만 전쟁 중에 몹쓸 짓을 당한 충격으로 다시 고아원에 가야 한다는 아미르의 말에 - 물론 이것은 입양을 위한 계획이었지만 - 자살 기도를 한다. 간신히 살아나 미국으로 오게되었지만 소랍은 실어증으로 말을 하지 않고, 소랍을 위한 아미르의 노력은 마치 그 옛날 하산이 아미르에게 했던 것처럼 천 만 번이라도 너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바로 그것이었다. 내전이 종식되고, 탈레반이 물러가고, 아프카니스탄인들도 예전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시기, 연날리기 대회에서 아미르가 소랍을 위해 연을 쫓아가자 소랍은 살짝 미소를 내비친다. 그의 얼어붙었던 마음이 녹기 시작한다는 신호일까? 소설은 여기서 끝을 맺는다. 라힘 칸으로부터 들었던 엄청난 출생의 비밀, 그리고 바바의 속죄하는 삶과 대비되는 아미르의 삶 속에서 작가는 아주 적절하게 아프카니스탄의 현실과 전쟁통의 비참함을 이야기하고, 또 인간성의 상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성의 회복도 보여준다. 결국 속죄의 삶을 택하고 인간성의 회복으로 나아가는 아미르의 삶과, 좀더 진지한 희망의 단계까지 승화시키는 부분, 그리고 소랍을 통해 보여지는 전쟁터에 놓여진 아이들의 현실, 그리고 치유에 이르기까지의 내밀한 부분들을 작가는 너무나 흡인력있게 시종일관을 이끌어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