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인사이트 - 세계의 판도가 바뀐다
이세형 지음 / 들녘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라비안나이트', '오일머니', '이슬람교'


중동을 생각하면 막연히 떠오르는 것은 이 정도였어요.


제게 중동은 너무도 먼 나라여서요. 미지의 세계에 가까우니까요.


저자는 그런 감춰진 중동의 매력을 살뜰히 벗겨주네요.


세계의 화약고라고도 불리는 중동 역시 패권 경쟁으로 정신이 없더라고요.


같은 아랍권이라도 각 나라들마다 치열한 신경전이 있었고요. 그 안에는 피비린내나는 종교 전쟁이 아직도 일어나고 있고요.


최근 국익을 위해 협상하거나 수교를 맺기도 하지만 여전히 아랍권 나라들에게 이스라엘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더라고요. 아랍권 형제나라들은 손놓고 불구경하고 있지만 다들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 대한 연민을 느끼고 있었고요.


저자는 중동을 방문하거나 여행할 경우에는 이스라엘에 대한 명칭을 '이스라엘'로 말하지 말고 '예루살렘'이나 '쿠드스'로 표현하는 것을 추천하더라고요.


중동에서 한국문화의 인기는 대단하더라고요.

길거리에서 한국사람인 저자를 보고 반가워 한국말을 하는 하는 아랍여성, 자신을 방탄소년단의 아미라고 소개하는 아랍여성을 보고 저자 역시 무척 놀랐다고 해요.

드라마, 음식, 문화, 패션 등 K-콘텐츠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책을 읽으며 어깨가 으쓱했네요.


이 책의 특징은 정말 자세하고 집요하게 중동을 파헤쳤어요. 저자가 기자 출신이라 자료, 근거가 뭐하나 허투루인게 없네요.


저자에 따르면 한국이 중동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실로 여러 가지가 있더라고요.

한국이 석유와 천연가스 유통에 필요한 대형 선박을 건조해 매년 막대한 외화를 벌어들인다는 점, 이건 너무 많이 알려진 이야기라 더 말하면 입아플테고요.


미국의 글로벌 외교 안보전략을 알수 있는 지역이 바로 중동이래요.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첫 해외 방문지 역시 아랍에미리트였고요. 해외 순방에서 중동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중동에 대한 관심, 연구, 교육이 좀더 활발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에 중동학 전공이 개설된 학교가 없고 파견 외교관이 많지 않은 것도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신문사는 유일하게 동아일보가 중동(카이로)특파원을 파견하고 있대요.

저자는 중동에서 일본의 취재 열기를 보고 많이 놀랐다 합니다. 빡빡한 여행금지제도가 조금은 융통성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 한국 알리기의 기본 플랫폼인 한국문화원이 중동에 조금 더 생기기를 바라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중동에 대해 허겁지겁 채울 수 있었습니다.

중동이 세계 3대 종교(기독교, 이슬람, 유대교)가 탄생한 곳이라는 점,

사우디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석유, 천연가스 수출 외에도 관광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도 눈돌리고 있다는 점,

미국의 유명 대학들이 진출하여 현지 여성의 교육과 사회 진출의 기회가 조금씩, 천천히 열리고 있다는 점.

아랍 연맹 소속 22개국중 유일하게 한국과 수교를 안 한 나라가 시리아라는 점,(북한과의 친분때문이라는 것이 정설)

화려하고 부강한 중동 산유국이지만 외국인 처우와 인권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도 배웠고요.


중동이 세계를 움직이는 열쇠를 쥐고 있대요.

그 열쇠, 이 책에 언제나 열려 있어요.


귀한 책,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중동에 대해 제대로, 잘 알고 싶으신 분,

중동 이슈에 대해 속시원히 알고 싶으신 분께

추천드리는 책​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