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오방 히어로즈, 문화유산에 숨은 색 보물을 찾아라!
하리라 지음, 정진희 그림, 문은배 감수 / 북멘토(도서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멘토] <변신! 오방 히어로즈, 문화유산에 숨은 색 보물을 찾아라!>



세상을 다채롭게 바라보는 눈, 우리색


우리 조상들은 색을 다채롭고 의미롭게 사용해서 생활과 문화, 그리고 다양한 유산에 색을 심어 놓았어요.


설날처럼 기쁜 날에 입는 옷에는 오방색(오방정색)을 써서 길한 뜻을 담았고, 물건을 쓰고 만들 때도 오방색을 중심으로 색을 써서 뜻을 담으려 했다고 합니다


'오방색'은 청(파랑), 백(하양), 적(빨강), 흑(검정), 황(노랑) 을 일컫게 되고


또한 방위, 각 동, 서, 남, 북, 중앙 을 나타내는 색이기도 해요.


오방을 담당하는 오방히어로즈로 변신을 해서 각각의 색에 맞는 유물 찾기가 책의 중심 내용이에요


방위를 다스리는 다섯의 신이 있죠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 가운데-황룡


이런 다섯 신 오방신이 사라져가는 우리색 오방색을 찾아서 다시 사람들에게 오방색을 상기시켜줘야 하는


미션을 실행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방신의 몸이 사라지게 된답니다.


오방신이 사라진다면 우리나라도 정기를 잃게 된다는 것이지요.


오방신이 오방 히어로즈로 변신해서 오방색을 어떻게 찾는지 알아봅니다,


시계가 없고 농사를 주로 했던 옛날에 해와 달 같은 자연이 조상님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쳤는데


삶과 가까운 자연을 관찰하며 그 속에 담긴 세상의 이치를 발견하려 했데요.


해와 달처럼 반대 성질을 띠면서 이루는 짝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렇게 짝을 이루는 것들에는 따뜻한 양의 기운, 차가운 음의 기운이 작용한다고 믿었죠.


두 기운이 세상을 이룬다고 봤는데


세상을 이루는 다섯가지 기본물질이 나온다고 여겼어요,


흙, 나무, 쇠, 불, 물 이를 음양오행이라고 했죠


음양오행을 따르면서 다섯가지 물질이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했데요


노랑-흙, 파랑-나무,하양-쇠,빨강-불,검정-물을 상징


계절은 동쪽-봄,서쪽-가을, 남쪽-여름, 북쪽-겨울 가운데-늦여름 을 뜻한다고해요


자연의 다양색을 하나씩 어떻게 생활에 활용하고 조화롭게 사용했는지 선조들의 물건에서 찾아가기 시작해요


먼저 동쪽에서 파란보물을 찾았어요.


파랑은 봄, 시작, 청춘,, 젊음 청운의꿈 을 나타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다양한 곳에 적용되었는데요


결혼식에 사용한 청사초롱, 청실홍실,나무기러기(혼례목안)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청자모란무늬 수막새, 청자 배 모양 변기, 황후, 황태자비의 적의




다음은 서쪽에서 하얀 보물찾기


하양은 조상들의 신성한 기운을 이어받은데서 기원한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백성들이 흰색의 옷을 주로 입었고, 흰색의 청렴, 절개를 나타낸다고 했습니다.


음식에서 흰 백설기, 가래떡 결혼식때 먹은 흰 국수


흰 백은 태양 빛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농사를 지어 해를 중시한 선조들의 정신을 이어받은 것이죠.


하얀 유물은? 돌상의 백설기, 장수의 상징 흰 국수, 타래실,


조선시대 흰색을 많이 입은 서민 백의 민족 흰 옷.


백자 등이 있었네요


이밖에도 남쪽에서 홍색(붉은색)


조선시대 왕의 용포 - 붉은 색을 만들기위해서는 홍화라는 꽃을 이용해서 만드는데


꽃이 아주 많이 필요하데요. 네 식구가 한 달 먹을 곡식을 키울 만큼 넓은 밭에 홍화를 심어야 해서


누구나 만들고 사용할 수 없는 색이었던 거죠.


그래서 왕만 붉은 곤룡포를 입었던 것이죠.


귀신을 쫓는다는 처용무의 붉은 옷


단청속의 붉은 색



북쪽에서 흑색


북쪽 신은 현무이죠. 검을 현자가 들어갑니다.


흑색은 나무를 구워 만든 숯, 그을음에 아교를 섞어 만든 먹, 나무껍질 등으로 색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흑색 유물은 어떤 것이 있었을까?


북쪽 군대에서 뒤에 있는 진영을 지휘할 때 현무기를 썼다고 합니다.


옻나무에서 나오는 검은 진을 모아서 물건에 칠했던 옻칠공예.


나무에 옻칠을 해서 오래 보관할 수 있게해서 식기나 가구에 옻칠을 했다고 합니다.


조개껍질을 이용해서 공예로 나전칠기도 흑색이 사용된 유물이었죠



마지막으로 가운데에서 노란 보물을 찾아 나서는 변신 오방 히어로즈.



이렇게 오방색에 관련된 유물을 알아보니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오방색을 의미있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색의 의미와 전통을 이어받아 색을 뜻깊고 의미있게 사용하고


현대 생활에 자연스럽게 이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갔으면 하는 바람을 갖어보아요.


아이들이 박물관에서 책에서만 이런 유물을 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현대에도 오방색을 잘 활용해서 기능을 이어서 문화유산을 지켰으면 좋겠더라구요.


겨울방학에 박물관과 우리나라 유물을 만날 수 있는 여러곳을 찾아 볼 수 있는 굉장한 계기가 되어 좋네요



여기에나온 유물 말고도 우리가 박물관이나 생활속에서 오방색의 의미를 지키면서 사용하는


유물이 어떤 것이 있는지 같이 찾으면 좋을 것 같아요.


변신, 오방 히어로즈 초등학색들과 부모님이 꼭 함께 보아야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