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우리 땅, 독도 이야기 진짜진짜 공부돼요 19
신현배 지음, 홍정혜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어린이를 위한 우리땅, 독도 이야기 -교과연계 추천도서

 

 

 

독도를 두고 일본은 아직도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며 자기네 땅이라고 하죠.

 

하지만 우리 역사에서는 독도는 엄연히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땅이라고 명시된 문서들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독도는 강치(바다사자) 가 많이 살았던 곳으로 유명했습니다. 일제시대까지만해도 말이죠.

 

하지만 몇년전 독도의 강치는 완전 멸종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일본인들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잔혹한 강치 살육을 하고 1950년대 초 미군의 해상 폭격 연습을 해서

 

독도의 강치들은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이 책을 이끌어 가는 주인공은 쿠릴 열도로 옮겨와 사는 강치 할아버지와 새끼 강치들이 나와요.

 

강치 할아버지는 고향 땅 독도를 그리워하며 손자 독도와 손자친구 초롱이에게 울릉도와 독도 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강치 할아버지는 강치 사냥꾼 이야기 신라장군 이사부, 여진족의 우산국 침입, 조선의 공도 정책과 안무사 김인우, 울릉도와 독도를 지킨 조선어부 안용복, 울릉도를 탐사한 검찰사 이규원 이야기 등 독도의 역사를 다 알고 있는 강치 할아버지.

 

이들을 통해서 독도는 이미 예전부터 우리나라 땅이라는 것을 배우게 되죠.

 

우리 아이들 그리고 어른들도 독도의 역사와 현재를 다시한번 이 책을 통해서 배우고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강한 자부심, 지키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일본 어부들은 가죽을 얻으려고 강치를 마구잡이로 죽였다고 해요.

 

강치를 잡아 가죽을 벗기고 살과 뼈는 바다에 버리는 바람에 악취가 진동하고 바다는 오염되었겠죠.

 

나카이 요자부로 라는 수산업자가 평소 해오던 해삼 전복 채취에 손해를 입자

 

몇년전부터 조선의 독도에 강치가 많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본격적으로 강치 잡이를 했단다.

 

독도가 한국 땅인 것을 알고 있음에도 벌인 이같은 행위는 절대 용서 받지 못할 것이다.

 

 

독도 노래에도 나오는 우산국과, 이사부 장군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삼국시대에 울릉도와 독도에 우산국이라는 작은 나라가 있었는데 우산국의 왕이 우해왕이었지.

 

이 시대에 왜구들이 자꾸 쳐들어와 노략질을 일삼았었다. 사람들을 죽이고 재물을 탐내는 이들을 용서하지 못했던 우해왕은 대마도를 쳐들어가 혼을 냈지. 대마도의 우두머리는 우해왕에게 항복했고 앞으로 절대 우산국을 침범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대마도의 우두머리는 우해왕에게 자신의 딸 풍미녀를 바쳤는데, 우해왕이 이 처녀를 왕비로 삼고 푹 빠져 살았다.

 

풍미녀는 원하는 것을 모두 받았고, 신라에서 금귀고리를 금목걸이를 받고 싶다고 해서 우해왕은 신하들을 키셔 신라에서 약탈을 해서 많은 것을 빼았았다. 이를 참지 못한 신라왕은 이사부 장군에게 우산국을 치라고 했다. 하지만 이미 바다의 전쟁에 강한 우산국에 신라는 당할 수가 없었다. 우산국 병사들을 굴복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생각이 필요했고, 병사의 의견을 들어 우산국의 약점을 찾아 우해왕을 항복 시킬 수 있었다.

 

 

독도에 관한 이야기 하나씩 나올때마다 내용을 요약한 문제와 답이 나와있다.

 

< 이것은 꼭 알아두세요!! 코너>

 

책을 읽고 다시한번 독도의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는 좋은 요약인 것 같아요.

 

 

강치 손자들이 모르는 최근에 독도를 지킨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최종덕 할아버지, 역사상 처음으로 독도에 들어가 살게된 분이죠.

 

울릉도와 독도를 오가며 어업을 하셨지만 독도에서 물골의 샘을 찾으셔서 계속 살 수 있게 되셨네요

 

물골이 만들어진, 원리도 그림으로 볼 수 있어요.

 

최종덕 할아버지 덕분에 돌섬이 사람이 살 수 있는 섬으로 바뀌었어요.

 

일본이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길때마다 최종덕할아버지는

 

"내가 이 섬에서 살고 있는데 무슨 소리야?" 라며 호통을 치셨다고 해요

 

 

그밖에 독도 박물관을 세우신 이종학할아버지, 덕분에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많은 역사적 자료를

 

많은 분들이 볼 수 있게 되었어요,.

 

 

독도가 중요한 위치인 이유는 바다 밑에 가득한 에너지 자원과 세계적인 지질 유적지 이기 때문에이요.

 

우리가 잘 지키고 우리땅임을 자부심있게 알려야 할 것 같아요.

 

 

이 책을 많은 어린이 성인들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본 포스팅은 책세상&맘수다 카페를 통해 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