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명자 리틀씨앤톡 모두의 동화 4
장경선 지음, 강창권 그림 / 리틀씨앤톡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의 건설 현장에 끌려가고, 전쟁에 강제 징집이 되었죠.

경남 경주에 거주하고 있던 명자네 가족.

아빠와 오빠는 이미 가라후토(사할린의 일본식표기)로 끌려갔습니다.

당시 사할린은 일본의 영역이었는데, 한국의 광복 후 소련의 땅이 되었죠.


아빠가 없는 명자는 학교를 다니지 못했습니다.

동네친구 숙자는 명자를 놀려댔습니다.  이 두 여자친구들의 대화가 경상도 사투리로 참 정겹고 재미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이 책을 읽어주느라고 안되는 사투리 연기를 좀 했습니다.

처음에 나온 정겨운 경상도 사투리에 아이들이 깔깔댑니다.

" 무슨 개뼈다귀 같은 소릴 하고 있노."  5살 딸은 개뼈다귀??? 하면서 계속 웃습니다.

 

명자의 오빠가 돌아왔습니다. 가라후토에서 석탄캐는 일이 너무 힘들어 도망가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회사에서는 가족들을 데려오게 했다고 아버지를 두고서 오빠 혼자 왔단다.

고향을 떠나기 싫은 가족들, 오빠와 아빠는 다시 만나고 싶은 가족들은

먼길 여행을 한다. 경주에서 부산까지 소달구지, 기차, 다시 일본으로 가는 배, 일본에서 다시 기차타고 아오모리역에서

다시 멀미나는 배를 타고 하코다테항 , 다시 기차를 타고 삿포로에서 왓카나이로 갔다.

이곳에서 가라후토로 가는 배를 탔다. 

이 먼길은 일본은 우리나라 사람들을 강제로 데리고 갔단말입니다. ㅠㅠ

 

 

명자는 가라후토로 가서 많은 노동에 시달렸다. 제지공장에서 나무껍질 벗기는 일, 나무를 삶는일

모두 한국사람들의 몫이었다.

명자오빠는 탄광에서 석탄가루를 뒤집어쓰며 일하고, 탄광 사고도 잦았다.

 

 

 일본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을 함부로 대하고 고된 일을 시켰지만 한국사람들을 생각해주는 친구들도 있었다.

나카무라라는 일본인 소년은 명자와 친하게 지내고 명자를 잘 지켜줬다.

전쟁에서 진 일본은 본토로 돌아가기위해 안간힘을 썼다. 조선인들은 돌려보낼 생각도 못하고,

소련군이 쳐들어오기전 조선인들을 무참히 학살하고 만다.

 


2학년에게 아직은 어려운 내용이고 이해가지 않는 일들이 많이 있지만,

과거에 우리나라와 일본과의 문제는 당연히 잘 알고 가야한다.

예전에 영화로 제작되었던 명자 아키코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이라고 한다.

 


작가, 장경선님은 90일동안 러시아에 머물면서 이 사연을 고스란이 담아 글을 썼고,

지금도 러시아에서 한국을 그리워하며 지내는 한국인들이 많다는 현실이 안타깝다.


다음은 출판사 리뷰입니다.

출판사 리뷰


해방을 맞이하고도 내 나라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

 

1944년, 광복을 한 해 앞두었던 일제강점기.

열한 살 명자는 바쁜 엄마를 대신해 동생 명국이를 보살피느라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다.

학교에 다니는 친구 숙자를 놀리면서도 속으로는 부러워하고 있던 때, 가라후토(지금의 사할린)에서 오빠가 돌아온다.

명자네 아빠와 일본이 점령한 땅 가라후토로 강제 징용을 가서 탄광 일을 하고 있다. 오빠가 돌아온 이유는 일본 당국에서 조선에 있는 가족들을 데리고 오라는 지시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오빠를 따라 명자와 엄마, 명국이는 가라후토로 떠난다. 명자는 고향 땅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야 하는 게 겁이 나지만 거기 가면 학교에 다닐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내심 설레기도 한다.

 

가라후토에서 일본인과 조선인이 함께 공부하는 학교에 입학하게 된 명자는 조선말로 된 자기 이름 대신 아키코로 불린다.

조선말은 한마디도 꺼내선 안 되는 삭막한 교실에서, 일본인 친구 나카무라와 같은 조선인 순이(하나코)는 명자에게 친절하게 다가오고 새 동무를 만난 명자는 조금씩 가라후토 생활에 익숙해진다.

이제 겨우 온 식구가 다 모였다 싶었는데, 기침병이 심해진 아버지가 치료를 받고자 고향 경주로 돌아간다. 오빠 또한 이중 징집을 당해 일본 본토로 강제 이송된다. 가족과 또다시 떨어지기 싫은 조선인들이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이중 징집에 거세게 항의했지만, 일본 관리자들이 몇몇을 주동자로 지목해 무서운 징벌방에 가두는 바람에 억지로 명령에 따르게 된 것이다.

다시 만나게 해주겠다는 일본 측의 약속을 굳게 믿고 오빠를 떠나보낸 뒤, 전쟁은 점점 막바지에 이르게 되고, 급기야 일본이 패전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명자는 조국이 광복되었다는 기쁨보다는 강제로 일본 땅에 끌려 간 오빠 걱정이 앞선다.

한편 가라후토에 소련군이 들어오면서 나카무라와 순이가 사는 미즈호 마을은 애꿎은 조선인에게 분풀이를 하고 싶은 일본 청년단원들에 의해 쑥대밭이 된다.

아버지는 경주에, 오빠는 일본 본토에, 명자와 엄마, 명국이는 가라후토에……. 뿔뿔이 흩어지게 된 가족은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

: 7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조국을 그리워하고 있는 사할린 동포들

 

 

일본이 점령했을 당시 가라후토로 명명되었던 땅은 소련이 점령하면서부터 사할린으로 불리게 됐다.

작가는 몇 해 전 직접 사할린에서 90일 동안 머물며 그곳 동포들을 만나 그들의 역사를 직접 눈으로 보고 들었다. 특히 전채련 할머니의 증언은 아무것도 모른 채 가족을 따라 가라후토에 간 소녀가 소련 영토가 된 사할린의 이주민이 되어 수십 년을 남의 나라에서 살아온 역사를 낱낱이 보여주었다. 조선인으로 태어나 일본 이름을 받고, 또다시 소련 이름을 받아 살아온 생이었다. <안녕, 명자>는 그런 전채련 할머니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탄생했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나라 사람들을 가라후토로 이주시킨 이유는 전쟁에 필요한 석탄 을 캐내거나 물자를 만드는 힘겨운 노동을 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정작 전쟁에 지고 나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헌신짝처럼 버려둔 채 일본인들만 챙겨서 자기네 땅으로 도망쳐버렸다.

그러다 전쟁에 지자 미즈호 마을과 가미시스카 마을의 조선인들이 소련의 스파이가 되어 일본을 팔아넘겼다는 헛소문을 퍼트렸다. 그러고는 두 마을의 조선인을 무참히 학살했다.

당시 소련과 우리나라는 교류를 하지 않고 있어서 일본의 도움 없이는 가라후토(사할린)을 한 발짝도 떠날 수 없었다. 그 바람에 살아남은 사람들도 자기 고향에 돌아갈 수 없었고, 기다리는 가족과도 다시 만날 수 없었다.

일본은 이런 사실들을 지금까지 시치미 떼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해방 후에도 이들을 챙기지 못했다.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타국살이를 하게 된 사람들, 언제나 고향을 그리워하며 조국에 돌아갈 날만을 꿈꾸었으나 정작 광복의 소식이 들려와도 갈 곳이 없어진 사람들. 그들이 존재하는 이상 우리는 식민지 시절의 아픈 역사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다.

<안녕, 명자>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전쟁의 아픔, 그리고 사할린 동포의 삶이 아련하게 수놓인 이야기다.


[출처] [서평단모집]리틀씨앤톡/초등학교 고학년/10명/안녕, 명자(~9.22 토) (● 책과 함께 자라는 아이들 ●) |작성자 준한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