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랑쉬굴 아이 - 1948년 한국, 제주 4·3 민주항쟁 한울림 지구별 그림책
김미승 지음, 이소영 그림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랑쉬굴아이

#김미승_

#이소영_그림

#한울림어린이

 

제주 4.3 민주항쟁 사건!

하지만 이건 정식 이름이 아니다.

아니, 이 사건의 정식 이름도 아직 없다.

그래서 제주 4.3 평화기념관의 비석은 아무것도 씌여 있지 않은 백비다.

몇 년 전 4.3 평화기념관에 갔을 때 비설이라는 제목의 조각상을 보았다.

눈밭에서 아이를 끌어안고 있던 맨발의 엄마 모습이 너무나 간절해 보였다.

<다랑쉬굴 아이>를 읽으며 이 조각상이 자꾸 떠올랐다.

 

하루 아침에 폭도로 규정되어져 버린 마을 사람들.

그리고 아빠와 엄마가 끌려가는 것을 숨어 지켜보던

아홉 살 작은놈은 이 상황이 이해되지 않아 질문만 많아진다.

믿음직한 안경 삼촌을 따라 숨어든 다랑쉬굴 속은 또 다른 마을이었다.

밤인지 낮인지도 모르게 지나가는 굴속 시간 속에서

유일한 희망은 곧 다시 만나게 될 거라는 엄마의 말씀을 기억해 내는 일이다.

그것도 잠시 결국 굴은 발각되고 모든 사람들이 끝까지 항거하다

다랑쉬오름의 굴에서 희생된 작은놈을 비롯한

열 한사람의 이야기를 책 속에 담고 있다.

 

차가운 겨울, 캄캄한 굴 속에서도

따뜻하게 그려진 사람들과 제주 오름의 억새와 붉은 동백이

책장을 넘기는 시간을 자꾸 붙잡는다.

엄마, 아빠를 그리워하며 두렵고 무서운 시간을 견뎠을 작은놈의 심정이

눈밭에 선 비설조각상과 겹쳐 보인다.

눈이 오고 차가운 겨울이지만 엄마 품은 따뜻했겠구나.

그 품을 내주기 위해 엄마는 맨발인지도 모르고 차가운 눈밭을 달렸겠구나.

 

4.3항쟁이 국가 폭력에 희생된 시민들의 저항 운동이자

국가의 분단을 반대하던 통일 운동이었음을 규명하여

진정한 4.3의 의미를 백비에 새길 날이 빨리 오길 바란다.

그것이 아홉 살 어린 나이에 스러져 갔던 작은놈이

다랑쉬오름 위로 떠오른 보름달을 향해 빌던 기도였을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르트의 맛 The 그림책 2
김지민 지음 / 한솔수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르트의맛

#김지민__그림

#한솔수북

 

잘 몰랐던 자신의 내면을 발견하고 마주보게 한 <하이드와 나>를 통해

인상적인 기억을 갖고 있던 김지민 작가의 신작 <타르트의 맛>을 열었다.

작가 소개란에 소개된 이 책의 특징 중 공감각이란 단어가 새롭게 다가왔다.

공각각이란 어떤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일으키는 일,

또는 그렇게 일으켜진 감각을 뜻한다고 한다.

그리고 책 속으로 들어갔을 때 바로 공감각의 의미를 알아챘다.

 

음식의 맛은 오감을 통해 느껴야 한다고들 말한다.

바로 그 모델이 이 책의 주인공인 임금님이다.

전속 요리사가 준비한 음식마다 한없이 까다롭기만 하던

임금님의 까다로운 입맛을 사로잡은 타르트의 맛이라니....

그런데 그것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량화된 레시피로 요리한 게 아니라

어떤 재료가 들어갔는지조차 알쏭달쏭한 요리라는게 아이러니하다.

 

풍선처럼 가벼운 맛,

구름처럼 가벼운 단맛,

모래주머니처럼 무거운 짠맛,

옆구리를 콕콕 찌르는 맛,

공작이 오색 꼬리깃을 펼치듯 뺨을 부드럽게 간지럽히는 맛,

생일 모자를 쓴 공들이 손바닥 안을 뱅글뱅글 돌며 춤을 추는 맛,

초콜릿들이 밖으로 튀어나오며 데굴데굴 구르는 맛....

 

이 책에서 임금님이 느끼고 표현한 맛 들이다.

맛을 표현하는 문장이 저리도 감각적이라니 먹어보지 못한

타르트의 맛이 머릿속에서 마구마구 상상되어 졌다.

그래서 공감각적인 책이라고 소개됐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다양한 팝업과 석판화 기법들을 사용해서

공감각적으로 표현된 맛을 더 증폭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해 준다.

뜻하지 않았던 메뉴로 임금님께 상을 받은 전속 요리사의

다음 요리가 걱정되는 것은 나만의 걱정일까? ㅎㅎ

우연히 그리고 예정되지 않았던 상황 속에서도

좋은 결과가 생길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러니 너무 절망적이거나 깊은 고민이 생길 땐

툴툴 털어버릴 줄도 알고 흘러가게 두는 것도 괜찮다고

나에게 말을 걸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도 분홍을 좋아해
롭 펄먼 지음, 에다 카반 그림, 이정훈 옮김 / 북뱅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도분홍을좋아해

#롭펄먼_

#에다카반_그림

#이정훈_옮김

#북뱅크

 

핑크 공주, 블루 왕자,

애매할 땐 노랑?

신생아 용품점 코너에 가보면 색상이 극명하게 나뉘죠.

딸은 분홍, 아들은 파랑...

이런 색을 누가 정해 놓은 걸까요?

성별이 정해지자마자 색깔을 구분하는 편견은 어디서 시작됐을까요?

사람들의 고정관념과 편견의 결과겠지요.

이런 시선을 벗어나 우리의 시선을 넓혀줄 멋진 책을 만났네요.

바로 <남자도 분홍을 좋아해> 입니다.

 

세상의 모든 색을 누구나 좋아할 수 있고

어느 특정 대상을 표현하는 색깔은 없다구요.

분홍은 누구나 좋아할 색깔이며 개인의 취향일 뿐이죠.

색깔에는 구분도 차별도 없고

성별이나 피부색을 구분 짓는 것은 더더욱 아니죠.

모든 색깔은 다 아름다우니까요.

 

다양하고 다채로운 색깔 본연의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알고

색깔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 버리기 딱 좋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백 년째 열다섯 텍스트T 1
김혜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백년째열다섯

#김혜정_지음

#위즈덤하우스

 

<오백 년째 열다섯>이라니...

정말 구미가 당기는 제목이다.

이 책은 <헌터걸>로 유명한 김혜정 작가의 시리즈물로

벌써 3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오백 년을 열다섯으로 살고 있는 가을을 중심으로

주변의 가족과 친구들이 엮어내는 이야기는

단군신화까지 연결된 아주 거대한 서사로 시작된다.

오백 년을 살면서 만나는 사람도, 사는 장소도 달랐지만

늘 새로운 인연을 만나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냈다.

몇십 년이 흘러 같은 사람을 만날 때도 있었지만

상대방들은 가을이 자기와의 인연이 닿은 가을임을 알지 못했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오백 년을 같은 모습으로 살 수 있다면

마냥 좋기만 할까?

사랑했던 사람들과의 늘 일방적인 이별은 너무 힘들 것 같고

사람들과 시대가 변해가는 상황에 적응해가는 것도 쉽지만은 않을 것 같다.

늘 냉소적인 태도로 변해 갈 수 밖에 없었던 가을의 입장이 이해되기도 했다.

 

자신의 신분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도

오백 년째 열다섯인 가을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여 준 신우덕분에

가을은 야호족과 호랑족의 전쟁을 끝내기로 결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열다섯, 중학교 2학년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세상에서는 불완전한 존재로 대우받는 시기를

가을의 영원한 나이로 설정한 작가의 의도도 살짝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신우가을을 존재 자체로 받아들여 준 것처럼

우리 사회도 청소년들을 발전 가능한 존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존재로 바라봐 주길

소망하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2편과 3편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얼른 펼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가을신우그리고 야호족과 호랑족은 평화를 유지하게 될까?

궁금하다 궁금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하 옆 오래된 집 - 안네 프랑크 하우스
토머스 하딩 지음, 브리타 테켄트럽 그림, 남은주 옮김 / 북뱅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네 프랑크가 살던 집 이야기가 무척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