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사라진 세계에서
댄 야카리노 지음, 김경연 옮김 / 다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사라진 세계에서>를 읽으며

박재연 교수님이 말씀하신 디스토피아 세상에 관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디스토피아: ()유토피아라고도 부른다. 가공의 이상향, 즉 현실에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나라'를 묘사하는 유토피아와는 반대로, 가장 부정적인 암흑세계의 픽션을 그려냄으로써 현실을 날카롭게 나타내고 비판하는 문학작품 및 사상을 가리킨다.(나무위키)

 

모든 일상을 도와주는 눈들로 인해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이 사라진 세상을 살고 있는 빅스!

그러나 빅스는 혼자 스스로 하는 것과 노는 걸 무척 좋아하기도 해서

읽고 싶은 걸 고를 수도 없고 화면을 통해 봐야만 하는 읽기 공부를 싫어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감시하는 눈을 피해 낯선 지하도시로 떨어진 어느 날,

그곳에서 도서관을 발견하고 책을 만나 예술과 우정과 동물이 뭔지 알게 된다.

그리고 빅스는 책과 함께 가족에게 돌아가 뭔가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래픽노블 형식으로 구성된 <책이 사라진 세계에서>

핸드폰 하나로 모든 걸 해결하는 현대 사회가

마치 눈의 지배와 감시를 받는 빅스가 있는 세상과 닮아있는 것 같다.

자신의 일을 개인이 결정할 수 없는 세상,

보여지는 세상이 다인것 처럼 끌려다니는 사람들,

그리고 그것이 문제인지도 인식하지 못하는 삶의 일상 등이 아찔한 생각이 들게 한다.

 

하지만 빅스의 일탈이 디스토피아 세상을 무너뜨리고

책 속에서 찾아낸 자유와 모험과 예술과 우정으로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디지털 세상 속에서도

잃지 말아야 할 소중한 것들을 생각하고 찾아보게 해준다.

 

책이 사라진 세계를 반길 사람들도 물론 있겠지만

여전히 수 천년 동안 우리 곁에 남아 있는 책들을 볼 때

책은 인류와 함께 영원히 존재하지 않을까?

<책이 사라지는 세계>가 오긴 올까?

무척 궁금해지는 질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