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동무 꼭두 우리아이들 우리 얼 그림책 3
김하루 지음, 김동성 그림 / 우리아이들(북뱅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겨울, 제주 여행 중에 본태박물관을 방문했다가 이색적인 전시를 봤었다.

꽃상여와 함께 다양한 모양의 꼭두를 보았는데 그때 처음 꼭두의 용도에 대해 알게 되었다.

 

어릴 적, 동네에서 초상이 나면 철모르던 아이들에겐 잔치집 분위기였다.

사람들도 북적이고 음식도 풍성하고 만장을 휘날리며 꽃상여 나가는 것도 볼 수 있었으니

이별의 슬픔보다는 노는 즐거움이 컷던 기억이 남아 있다.

<길동무 꼭두>는 김하루(김숙) 작가님이 우연히 꼭두조각가 김성수 작가님의 전시회를 보고

영감을 얻어 만든 스토리에 김동성 작가님의 그림이 더해져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우리 조상들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책이 되었다.

 

꼭두는 사람들이 하늘나라 갈 때 길을 열어 주고 같이 가는 길동무 인형을 일컫는 말이다.

이 책의 추천사를 쓰신 김옥랑 꼭두박물관 관장은 꼭두를 이렇게 설명해주고 있다.

 

[ 꼭두는 저마다 하는 일이 다르기 때문에 종류가 다양합니다.

길을 안내하는 꼭두가 있고,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꼭두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행자가 불편하지 않게 시중을 드는 꼭두가 있고, 노래 부르고 춤을 추어

즐겁게 해 주는 꼭두가 있습니다. 그리고 용 꼭두와 봉황 꼭두도 있습니다.

꼭두가 다양한 일을 하지만, 그 밑바탕에는 위로와 보살핌의 자세가 깔려 있습니다.

이름 없는 백성의 문화인 꼭두는 조상이 남겨 준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입니다. ]

 

내가 제주에서 만났던 다양한 꼭두들의 존재 이유를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었고

망자를 기억하고 배려하며 남은 가족들에게도 위로를 전하는 메신저로

꼭두가 쓰임을 받았다는 것이 다행이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우리 선조들의 이러한 풍습의 중심에는 늘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망자에게나 살아있는 자에게나 친구로 다가가 위로와 돌봄을 전하는 꼭두를 소재로

지금은 거의 사라져 버린 전통 장례 문화를 알려주고 그 속에 담긴 선조들의 태도를

보여준 <길동무 꼭두>를 아이들에게 꼭 소개해 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