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어디든 나의 집
알바 카르바얄 지음, 로렌소 산지오 그림, 성초림 옮김 / 이유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들에게 이 갖는 의미는 아주 다양하다.

특히 몇 년 사이 수도권에서 을 가졌다는 것은 부와 성공의 척도가 돼 버린 느낌이다.

안전과 보호의 주() 개념을 넘어서는 재산의 개념이 더 커진 느낌이 개인적으로 씁쓸하다.

 

호모 사피엔스부터 인류가 어떻게 환경에 적응하며 지금 같은 삶을 누리게 되었는지

을 중심으로 들려주는 지식정보가 가득한 그림책 <세상 어디든 나의 집>을 읽었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집을 짓고 기후나 환경에 적응하며 사는 것을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수백 년간 축적해 온 과학기술과 한 사회의 지식, 예술, 전통, 신화, 믿음 등을 포함한 공동체의 문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한다.

 

-두뇌, 거리의 도시-허파, 광장-심장, 산과들-위장에 비유하는 내용이 재미있었고,

도시의 발달을 통해 메가시티를 이루게 되는 과정의 설명도 이해하기 쉬웠다.

 

그리고 시대에 따라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발전하는 집의 모습과 함께

변하지 않는 집의 조건인 안전함과 피난처의 역할을 해야 하는 공간임을 설명하며

집이 누구에게나 같지만,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문화권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드러난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도대체 집이란 무엇일까? 라는 질문을 통해 집의 모양, 용도, 공통점들을 살펴보고

집의 공간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세계 여러 나라의 예를 들어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이 세상은 우리 모두가 함께 어울려 사는 집이라는 결론으로 정리해 준다.

 

여전히 시대는 변해가고 과학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해 갈 미래 세상에서는

이제까지 만나지 못한 새로운 집이 생겨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미래에 내가 살고 싶은 집은 어떤 집인가? 떠올려 볼 때 건물의 화려함이 아닌

그 집에 깃들어 있는 공동체의 따뜻한 사랑이 더 소중하다는 생각엔 역시 변함이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