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메모 - 이것으로 나의 내일이 만들어질 것이다 아무튼 시리즈 28
정혜윤 지음 / 위고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깊고 조용한 기록들. 나의 내일을 위한 시간.


#사야하나?
‘메모’는 자기 개발서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다. 그래서 조금 꺼림칙했다. ‘메모의 기초부터 탄탄하게 잡아준다’고 하면 어쩌지-하는 불안감이 들었었다. 그런데 다행히도 그런 내용이 아니었다. 너무 좋았고 사길 잘했다 싶었다.


#생각의 기록, 메모
두 번째 꼭지에 나오는 <비메모주의자의 고통>의 도입부는 정말 재밌다. 저자가 <아무튼, 메모>를 쓰겠다는데 지인들의 반응이 모두 부정적이다. 평소에 메모도 안 하는 사람이 그런 책을 쓰냐며 타박뿐이다. 저자가 말하는 ‘메모‘란, 노란 포스트잇에 일정을 적어두는 일이 아니다. 혼자 남은 밤, 자신의 생각에 깊이 빠져들 수 있는 ‘실마리를 적어두는 일’, 또는 ‘깊은 생각의 기록‘을 의미한다.
나도 가끔 떠오르는 생각을 써 놓으려 애를 쓴다. 요즘 가장 많이 하는 쓰기(메모)는 지금처럼 책을 읽고 느낀 점을 쓰는 것인데, 책 내용이 아닌 그 외의 이야기나 내 생각을 주로 쓰는 편이다. 그것은 내가 나에게 말을 거는 대화이기도 하다.
이런 대화는 낮에, 주변에 사람이 많을 때는 힘들다. 저자의 말처럼 ‘조용히 혼자 있는 시간’에 가능한 일이다. 나도 저자처럼 이런 시간이 소중하고 좋다.
저자는 이제 자기 자신만을 위해 메모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메모에 내 나름대로 제목을 붙여본다면 ‘약자를 위한 메모‘, ‘누군가를 지키기 위한 메모‘ 쯤 될까? 참 아름다운 메모가 될 것 같다.


#좋은 사람, 좋은 글
마지막. 책을 덮으며 먹먹함에 휩싸였다. ‘메모주의자가 된 이유’로 시작한 이야기가 ‘조선인 전범 피해자 이학래 할아버지’의 메모로 끝이 났다. 한 꼭지, 한 꼭지 읽어 나갈 때마다 이 책의 가장 좋은 부분이 계속 늘어나서 나중엔 플래깃 붙이는 것을 포기했다. 저자의 생각과 태도에 존경심이 부푼다. 처음 알게 된 분인데 이렇게 좋아하게 되다니, 그래도 해오신 일들을 보면 이 마음이 쉽게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이렇게 좋은 저자와 글을 만날 때면 기분 좋은 힘이 생긴다. 마지막에 밝히신 ‘기후 위기 예보‘ 방송을 하게 된다면 꼭 애청할 것이다.


#그런 사람
삭막한 세상 속에서 ‘바른 길’을 걸으려는 사람들이 있다. 환경, 경제, 교육, 인권의 사각지대에 내몰린 자들을 돕는 사람들. 겉보기에 그냥 착한 사람, 무해한 사람들 같지만, 사실 그 걸음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심을 다해 전력 중일 때가 많다. 정말로 부단히 노력해야 걸을 수 있는 길. 그래서 이런 분들이 존경스럽다.


#나의 메모
나의 메모는 어떤 모습으로 나에게 돌아올까. 이 기록들이 어떻게 남겨질지 모르겠다. 무언가에 기뻐하고 화내고 흔들리던 감정들, 무언가를 찾기 위해 쌓아 둔 정보들이 여기 이렇게 글로 남아있다. ‘선한 영향력’이란 말처럼 바르고 옳은 일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내뱉음으로써 채워주는 글. 그런 글을 쓰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