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 곤충기 2
앙리 파브르 지음, 김진일 옮김, 정수일 그림, 이원규 사진 / 현암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제2권. 파브르 인생의 역경과 새로운 터전에서 피어나는 연구에 대한 열정.



#인생역경
열아홉에 신임 교사가 될 만큼 똑똑했고 평생을 교사로 보낸 장 앙리 파브르. 지금 우리가 보기엔 안정된 생활로 보이지만 당시엔 공장 노동자보다 못한 급여를 받는 일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대학교수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생활고를 감당할 수 없어 거절한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런 그에게 교사로서의 마지막은 비참했다. 실질적인 경험과 사실을 중시했던 파브르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서도 똑같이 했고 학생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많았다. 하지만 종교적 색채와 성차별이 남아있던 당시 사회에서 여학생들에게 호기심이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런 호기심을 불어넣은 교사인 파브르는 학부모들에 의해 파면당한다. 모든 것을 잃고 부당하게 쫓겨난 파브르는 (경제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도움으로 세리냥 아르마스에 집을 구하게 된다. 2권의 내용은 여기서 시작된다. 곤충기 집필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2권 내용
2권의 내용은 1권 마지막에 나온 사냥벌과 연결되어 단독생활을 하는 구멍벌류나 가위벌류에 집중되어 있고 그 벌들에 기생하는 가뢰과 곤충이 조금 나온다. 우리가 ‘벌’하면 흔히 생각하는 꿀벌이 아니라는 점이 흥미롭고 그 다양성에 놀랍다. 이들은 ‘과‘나 ‘종‘에 따라 다양한 생활방식이나 먹이를 가진다. 특히 사냥벌이 먹이를 마취시키는 것은 아주 과학적이다. 벌에 따라 잡는 먹이가 다르고 그 먹이에 따라 마취를 해야 하는 신경계의 위치나 횟수가 다르다. 벌들은 자신의 먹이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고 그들을 산채로 보관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이에 대해 파브르는 마취 전공의들이 따라가지 못할 수준이라며 칭찬한다. 파브르는 그때까지만해도 사냥벌들이 먹이에 방부처리를 할꺼라는 추측을 관찰과 실험으로 밝혀낸 것이다.



#동물행동학
파브르는 동시대에 살았던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당시의 생물학인 박물학이 생명체를 해부하여 관찰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그는 곤충을 사랑했을까? 그건 모르겠지만 적어도 생명체를 연구할 때 살아 움직이는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본질이라고 생각하는 경험론자였다고 볼 수 있다. 파브르의 이 생각은 현대의 ‘동물행동학’으로 이어지는 듯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활발하지 않지만, 최재천 교수님과 같은 분이 하시는 방식이 여기에 속한다. 생명체를 해부해서 세포 단위로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들과 대화를 할 수 없기에 어떤 방식으로 활동하고 생명을 이어가는지는 행동 관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겸손과 열정
파브르의 연구나 주장 중 상당 부분은 실패했거나 잘못되었다. 하지만 그가 중요한 점은 과학을 대하는 태도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실험을 통한 사실만을 받아들였고 가설에 대해선 항상 신중하게 말을 고른다. 파브르 곤충기를 읽으면서 그의 그러한 겸손한 태도가 항상 눈에 띈다. 그와 함께 그는 끊임없이 궁금해한다. 그의 끝없는 호기심과 상상력은 밀과 다윈 뿐 아니라 (시인) 프레데리크 미스트랄과 같은 문인들도 자극시켰던 것 같다. 겸손과 열정. 파브르와 함께 기억해야할 자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