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윤이형 외 지음 / 워크룸프레스(Workroom)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광장은 어떻게 변해왔으며 나의 광장은 어떤 모습일까


#전시회 소설집
단편 소설집 <광장>은 국립현대미술관 5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크게 두 가지 의미가 있어 보인다. 하나는 전시용으로 반짝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도록‘의 비용을 생산적인 곳에 투자했다는 점과 다른 하나는 단순히 전시품 모음집의 형태와 기능을 넘어 그것 자체가 ‘전시 작품‘으로 승화되었다는 점이다.


#첫문장
윤이형 | 저는 그 방식에 동의할 수 없는데요.
김혜진 | 우리는 그 집에서 2년 8개월을 살았다.
이장욱 | 코끼리였어요.
김초엽 | 아무도 마리가 어디로 갔는지 모른다.
박솔뫼 | 운동장을 뛰다 보면 농구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네다섯 명이서 늘 몸을 부딪치며 농구를 하고 있었다.
이상우 | 안녕하세요. 나가유미 씨. 오래간만입니다.
김사과 | 나 딸을 낳아요.


#소설가가 그린 광장
<광장>은 작품마다 따로 제목을 붙이지 않고 ˝광장˝을 주제로 한 소설집이다. 각각의 소설도 전시 작품이라고 생각하니 좀 특별하게 느껴진다. 모든 작품이 좋았지만, 개인적으로 윤이형, 김혜진, 김초엽 작가님의 광장이 기억에 남는다. 윤이형 작가님의 작품은 연대의 방향성과 온라인 속 광장을. 김혜진 작가님은 사랑하는 이와의 소통과 파롤의 광장을. 김초엽 작가님은 소외 집단과 저항의 광장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그것들은 우리 현실과 연결되기도 질문을 던지기도 하면서 깊은 생각을 하게 했다.


#광장
요즘 나에게 ‘광장‘이라고 하면 몇 해 전 사건 때문에 정의 실현이나 저항의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 그리고 뒤이어 고대에 소크라테스가 매일같이 찾아들었을 아고라 광장도 생각난다. 어떻게 보면 이 두 가지는 아주 이질적이다. 한 목소리로 외치는 모습과 서로의 주장을 논박하며 자신의 소리를 높이는 모습. 광장은 인간 사회를 추동하는 협동과 대립이 피어나는 곳이란 생각이 든다.
21세기는 이런 광장들이 잘게 쪼개어져 많은 이야기를 쏟아내고 있는 것 같다. 우리가 어느 광장에서 어떤 이야기를 할지 고민해야 할 시간이 더 늘어난 것이다. 가끔은 모순되는 주장을 다른 광장에서 다르게 할 때도 있고, 같은 주장이라도 광장에 따라 다른 반응을 받을 때도 있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진 만큼 우리의 광장도 (그리고 나 자신도) 파편화됨을 느낀다.


#윤이형 작가님 광장
오픈 채팅방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새로 들어선 정부가 광화문 광장에 초대형 ‘복합 집회 문화 공간‘을 만들 거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반발하고, 주인공이 속한 만화가 단체도 이를 막기 위해 무언가를 하자는 취지로 오픈 채팅방에 모이게 되는데, 시위 방식을 놓고 의견충돌이 발생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되는 소설이다.


(소설에서는 시위 방식에서 ‘현장 시위‘와 ‘여론 형성‘이라는 두 방향성의 충돌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작가님의 다른 소설 <작은마음동호회>에서도 나타난다. 전에 북토크에서 들은 이야기를 복기해보면 이런 이야기들은 촛불집회 당시 작가님의 경험과 죄책감이 녹아든 작품들이다. 그래서 글 속의 고민들이 더 도드라져 보였다.)


오픈 채팅방이라는 공간 그리고 광장이라는 상징이 재미있는 지점이면서도, 의견 충돌과 분리주의로 나아가는 내용 전개는 조마조마하고 날것의 현실을 보는 씁쓸한 마음으로 읽었다.


#대립
살면서 수많은 의견대립을 겪어 왔지만 모든 구성원이 동의하는 방식이란 없었던 것 같다. 각자의 상황과 경험이 다르기에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고 단정 지을 수도 또, 지금의 결정이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선택이었다고 말할 수도 없음을 안다. 타인을 볼 것도 없이 10대의 ‘나‘와 20대의 ‘나‘를 되돌아보더라도 갈등이란 게 얼마나 간교하고 하잘것없는 에너지 소모인지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나는 그걸 알면서도 또 다른 갈등에 대비하고 대립한다. 이러한 알량한 깨우침과 모순의 반복은 나를 가볍게 만들 뿐이다. 언제쯤이면 마찰 없이 받아들이는 그런 내가 될 수 있을까. 나를 이기는 게 가장 힘들다.


#외형 #표지디자인
소설책이 아닌 디자인책에 쓰일 법한 북디자인을 적용했다. 먼저 천 느낌의 소재와 받침 ‘ㅇ’을 광장의 모습처럼 형상화한 것이 멋졌다. 표지의 글씨가 자연스레 벗겨지는 느낌도 상징적이면서 잘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본문의 여백이나 다듬새는 투박하지만 외형의 디자인은 멋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