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과 한계처음에 중국철학의 시작으로 공자, 맹자, 순자가 등장한다. 흥미로웠던 점은 세 사람의 구도가 서양철학의 시작과 닮았다는 점이다. 공자는 소크라테스, 그들을 스승으로 모시고 따랐던 맹자와 플라톤, 그리고 반대로 갔던 순자와 아리스토텔레스. 신기하게도 그들이 추구했던 방향성도 비슷하다. 그들 이후의 사상가들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듣고 있던 팟캐스트에서 “이러한 구도가 우리 인간이 발현할 수 있는 최대의 사상적 넓이인 건 아닐까”라고 말한다. 현대에 생각할 수 있는 사상은 이미 다 나와 있다. 달라지는 건 새롭게 생겨나는 대상뿐이다. 인간은 인간의 뇌 속에 갇혀 사는 존재인 것 같다. 우리는 우리의 뇌를 뛰어넘을 수 없는 것일까? 그리고 과연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의 힘을 빌리는 것이 옳은 선택일까? 이런저런 생각을 해본다. #관심나에겐 외국은 둘째치고 한국의 역사조차 아직 어렵다. 그런데 한국 철학을 읽다 보니 한국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것 같았다. 그리고 해골물 정도로만 알던 ‘원효대사’처럼 알고는 있지만, 사실은 몰랐던 인물들의 일생을 읽고 나니 관심이 생기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철학사를 가볍게 다루는 책이라 깊이는 부족하지만 내 수준에는 맞는 책이었다. 전반적인 동양 철학사의 흐름을 알게되고 관심이 생긴 점이 만족스럽다. 평소에 접하지 못했던 인도철학도 하나의 파트로 정리되어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