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의 동물과 인간 이야기
최재천 지음 / 효형출판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자연주의적 오류
나는 한때,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하며 비판했었다. 그 때는 그런 자세가 중요하다 믿었었다. 하지만 이젠 그런 과정이 ‘자연주의적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걸 안다. 최재천 교수님은 이미 그런 부분을 잘 알고 계신다. 이 책은 결코 ‘동물들은 이러한데 인간들은 이래서 잘못이다‘라는 식의 책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모두가 읽어 볼 만한 책인 것 같다.


#자연과 나
나는 자연을 통해 인간 세상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종종 하면서 자랐다. 사람에 따라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인간도 지구 생태계의 한 종에 불과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 지구상에 인간이 출현하기 전까지 앞선 생명체들이 없었다면 과연 우리가 이런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었을까? 우리도 지구 생태계 속에서 하나의 단계로 태어난 것이라 생각해보면 다른 동물들과 우리를 분리해서 볼 수만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침팬지뿐만 아니라 개미, 꿀벌과 같은 곤충들도 우리와 공통점이 있다고 믿는 편이다. 최재천 교수님도 내심 그런 점을 내비치고 계신듯하다.


#사회진단
나도 ‘자연현상‘과 ‘동물행동학‘이 우리 사회를 진단해 보기 위한 참고자료로 괜찮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다른 생명들의 이색적인 활동들을 다루는 ‘동물행동학 책‘이면서 우리 인간과 연결해보는 ‘인문학 책‘이기도 하다.
인간과 동물을 비교한 글을 읽다 보면 놀랍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했다. 어느 땐 인간이 잔인하기도 했고 더 멍청해 보이기도 했다.


#깨달음
나보다 잘난 사람보다 못하다고 생각했던 사람에게서 배운 교훈이 더 크게 와닿을 때가 많다. 사실 그런 마음은 ‘무식한 차별‘과 ‘목적 없는 연민‘에서 비롯된 위선임을 느낀다. 같은 사람끼리 ‘잘남‘과 ‘못남‘이 어디 있을까. 그런 선 긋기에 난 항상 매몰되어 살아간다. (아직 난 한참 부족한 존재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못하다고 생각한 사람에게서 배운 교훈이 나를 더욱더 겸손하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같은 사람도 아닌 동물에게서 그런 깨우침을 얻는다면 훨씬 내 삶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세상은 항상 나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다.

"제게는 소박한 신념이 하나 있습니다. ‘알면 사랑한다‘는 믿음입니다 (...) 동물들이 사는 모습을 알면 알수록 그들을 더욱 사랑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우리 스스로도 더 사랑하게 된다는 믿음으로 이 글들을 썼습니다."
<글을 시작하며> 중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