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란사 - 조선의 독립운동가, 그녀를 기억하다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란사는 <덕혜옹주>의 권비영 작가님께서 쓰신 작품이다.

<덕혜옹주>라는 책을 정말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어 이번 작품도 엄청 기대하며 책이 오길 기다렸던 것 같다.

<하란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유학생이자 유관순 열사의 스승, 그리고 덕혜옹주의 오라버니 의친왕 이강과 함께 꺼져가는 조선의 등불을 지키려 했던 독립운동가라고 한다.

권비영 작가님께서는 최초의 여기자 최은희 씨가 쓴 <여성을 넘어 아낙의 너울을 벗고>라는 책을 우연의 보게 되고 그 어려운 시기에 빛났던 여성들에 대한 기록에 있던 순국의 여성 유관순, 여성 전투기 조종사 권기옥, 풍운의 여걸 민비, 신식 교육에도 열성을 쏟았던 영친왕의 어머니 엄 귀비, 독립군의 어머니 남자현, 상록수의 선구자 최용신 등 목록을 쭉 훑어가다가 눈에 띄는 인물, 하란사라는 이름 앞에서 시선이 멈추었다고 한다.

친일파에 독살당한 여걸, 최조의 미국 학사 하란사

하란사에 대한 자료를 계속 찾아보았지만 하란사에 대해 알려진 게 별로 없어 정작 알고 싶은 사실들은 알 길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거기에 상상력을 입혀 나라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여성 교육에 힘쓴 하란사의 일생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고 한다.

하란사를 읽는 도중 최초의 미국 학사를 얻어내었다는 소리를 듣고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 당시에는 여성이 뭔가 이루어내기엔 정말 힘든 분위기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와 남편의 뒷받침으로 최초의 미국 학사를 딴 후 조국에 돌아와 이화학당에서 많은 여성들을 교육하고 독립운동가로서 움직인 멋있는 분이시기에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것뿐만 아니라 항상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바로 말하고 나쁜 인간들에게 욕을 한 바가지 퍼부어줄 수 있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내 인생은 나의 것이다. 내 생각대로 사는 것이다. 내 생각은 그곳에 있다.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는 것! 나는 기꺼이 한 알의 밀알이 될지니

하지만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하란사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이 없었다.

'유관순 열사'에 대해서는 책으로 여러 차례 읽었고 역사 시간에도 항상 공부하는 사람 중에 한 분이었지만 조선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하란사'라는 이름을 정말 처음 들어본 것 같다. 그래서 이번에 더욱 관심이 갔던 책인 것 같다. 독립운동가 중에서 여성 운동가는 '유관순 열사'님 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던 조선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한 명 더 알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이 기대되며 좋았던 것 같다.

내 이름을 묻지 마오. 어디서 왔는지도 묻지 마오. 나에게 생명을 준 이를 묻지 말며 나를 키워준 이도 묻지 마오.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인생, 그런 것들이 무에 그리 소중한가.

다만 내 목숨을 바쳐 지켜내고 싶은 것이 있으므로 나는 살아갈 이유를 찾는 것이오. 그리하여 하잘것없으되, 더없이 귀한 생명의 가치를 느끼게 해준 존재들에게 머리 숙여 감사하오. -p7

자, 이제 준비가 되었다. 마음먹었던 일을 결행할 시점이다. 대문을 박차고 거리로 나왔을 때의 기분은 세상을 다 가진 듯이 뿌듯하고 더없이 상쾌하다. 마치,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안개 자욱한 길을 걷다가 쩅한 햇살을 만난 기분이다. 하늘도 맑다. 발걸음도 가볍다. 바람 끝자락이 맵긴 하지만 오히려 상큼하다. 이제부터 시작될 일에 대한 기대도 대단하다. 두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왕 마음먹은 일,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끝까지 헤쳐 나갈 것이다. 스스로의 결정이 기특해서 절로 터지는 웃음을 감출 수 없었다. -p8

서(序) 7~8

이 첫 부분은 무조건 봐야 할 내용인 것 같다. 하란사가 어떤 마인드로 나라를 위해 또 자신의 성주를 위해 싸웠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저렇게까지 나서지 못할 것 같다. 하란사의 친구인 화영처럼 뒤에서 조용히 돕는 정도로 끝날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하란사가 정말 존경스러웠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편하게 살 수 있는 것도 다 옛날 독립운동가분들 덕분이기 때문에 이런 멋진 일을 할 수 있는 분들이 존경스럽다.

우리 학교에 괴짜가 하나 들어올 모양이야. 교칙을 무시하고 입학을 허락했대.

교칙을 무시하고?

응. 그 여자 배포가 대단해.

무슨 배포?

기혼자는 못 들어온다 하니까 기발한 발상을 해서 입학이 허가되었다지.

기발한 발상이라니?

어느 날 그녀가 밤중에 프라이 선생님 앞에 나타났대. 가지고 온 등불을 선생님 앞에서 끄면서 말했다는 거야.

우리가 캄캄하기가 이 꺼진 등불 같으니 우리에게 학문의 밝은 빛을 줄 수 없겠느냐고. 그래서 그를 기특하게 여긴 선생님 덕에 입학 허가를 받았대.

p38

너희들은 등불 꺼진 저녁 같은 이 나라를 구해야 하는 사명이 있어. 공부를 하는 건 어둠을 벗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 공부한 자들은 어리석은 백성들을 계도하고 나라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해. 쓸데없이 연애질이나 하며 청춘을 허비해서는 안 돼. 우리 한 명 한 명이 다 애국자가 되어야 해.

p62 - 란사의 교육관

그럴수록 란사의 결심은 단단해져갔다. 하루빨리 공부를 마치고 조선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졌다. 무지하고 힘없는 조선의 여성들을 깨우치고 세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사명감에 불타올랐다.

p93

제 것 빼앗기는데 가만히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애국은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게 아니고 우리 모두 해야 하는 것이다.

p215 - 강씨 아줌마의 말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