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케이스 스터디인가 - 복잡한 현상을 꿰뚫는 관찰의 힘, 분석의 기술
이노우에 다쓰히코 지음, 송경원 옮김, 채승병 감수 / 어크로스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간소화 전략으로 핵심을 짚어내는 기술, 케이스 스터디가 만들어낸 일종의 혁신인데, 이를 접목할 수 있는 분야는 해외 논문 5편 외에도 실생활에 아주 농후하다. 블랙스완이라고 지칭한 점만 봐도 케이스 스터디가 끈질기게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핵심에 다가가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총칭한다. 주로 컨설팅 업계에서 실행하는 원칙론이지만 우리 주변에 자주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에 해결책을 모색하는 수단으로써 케이스 스터디는 상당히 요긴하다고 할 수 있다. 관점이 분명하면 데이터에 함몰되지 않는다고 한다. 게다가, 통계라는 함정에 빠지지 않고 명확한 답안을 유추할 수 있으니 케이스 스터디는 인식론의 협소함과 제한을 넘어서는 문제 해결 방안의 지존이라고 생각한다. 주로 자신의 관점으로 문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훼손할 염려가 있어 소수의 인원과 함께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하는 편이다. 학창시절 케이스 스터디라는 게 경영학에서 다루는 일종의 토론식 해결법이라 재미는 있었지만, 원칙에 짜여진, 특히 컨설팅 취직에 필요한 인터뷰 연습을 위해 시도했던 까닭에 답답함도 적지 않게 느꼈다. 책에서느 조사 대상의 인과 법칙을 알아내는 점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특히, 복강경 수술, 물리치료사 고용 등을 통해 관점의 친절한 안내를 시도하고, 여러 사례를 소개해 이해를 돕고 있어 배울 점이 많다. 또한, 각 논문마다 수상 이유를 밝혀 경영학계의 아카데미상이라 할 수 있는 최우수논문상의 함의를 전달하는 데 힘쓰고 있다. 케이스 스터디에서 기본 골조를 자고 공통 언어로 의견을 교류하는 환경 마련은 필수라고 한다. 학창 시절에 시행한 케이스 스터디, 법안의 판례를 분석하며 해봤던 케이스 스터디도 결국은 관점의 인과성과 간결성을 탐색해내는 과정이었던 셈이다. 실행 단계에 이르는 과정, 실행 과정에서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등을 기술한 책은 어쩌면 이 책이 유일하지 않나 싶을 정도다. 예전에 읽었던 케이스 스터디 책과는 접근법자체가 다르고,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하고 배움을 반추할 수 있어 진정한 스터디 자원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