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과 수수께끼로 문화 읽기
박환영 지음 / 새문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속담을 저자 나름의 분석 순서에 따라 읽다보니 한국어가 꽤 어렵다는 느낌이 든다. 속담은 당시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는 문장인데 구수하거나 너무 매몰차거나 혹은 무서운 속담도 많아서 아찔했다. 어려서부터 듣던 속담과 수수께끼를 문화 중심으로 살피니 마치 자신의 마음 상태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하며 투영, 인지부조화, 투사 등 생활과 동떨어진 감이 드는 어휘가 몰려드는 인상도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너무 흥미롭게도 읽으면 이해가 된다. 역시 한국인이다. 똥도 모르고 두번 밟으면 재수가 좋다, 하루에 두 번 병신되는 건? 등등 한번쯤 접했던 이야기를 문화 해석으로 접하니 새롭다. 한국 중심의 문화 읽기라 비중면에서 한국 속담이 주류를 이루지만, 중간에 영어 속담도 잠깐 등장한다. 고도로 압축된 민족문화 파일이라는 말에 동의한다. 한국에서 살며 이런 속담을 언론에서 자주 접하지는 못한다. 아무래도 언론계도 속담의 다양성을 그대로 담아내기는 지나치게 강한 느낌이 들어서 일지 모른다. 정말 속담은 촌철살인이라 비슷한 상황이 연이어져 굳이 쓰려다보면 식상한 인상을 주기 쉽고, 안 쓰던 생소한 속담은 독자들이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해 쓰기도 어렵다. 속담을 지켜보며 삶이란 게 그렇게 다양한 건 아니라는 점을 느꼈다. 엄청나게 오랜 시간 갈고닦은 속담이 단박에 이해가 된다는 건 시대를 초월해 인간의 생활과 감정이 비슷하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다. 수수께끼를 즐겁게 풀어내던 유년기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최근 들어 수수께끼의 묘미도 많이 떨어진 것 같다. 예전에는 수수께기로 까르르 넘어가던 시절도 있었는데 요즘 아이들의 성장 과정을 보자면 모바일과 각종 PC게임이 그런 순수한 즐거움을 앗아간 게 아닌가 싶어 조금은 안타깝다.동물 속담 부분을 보면, 동물의 행태는 DNA의 진화가 멈춘 듯한 기분이 들 정도로 똑깥다. 토끼 잠이다는 여전히 토끼의 잠버릇을 가리킨다. 속담은 생각을 단순히, 그리고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최상이라 생각이 들며 누군가가 일부러 만든다고 널리 쓰이는 것도 아닌 까닭에 그 자체로 역사적 유물이자 인류의 흔적이라 할 수 있겠다. 즐거운 속담과 수수께끼의 만남을 생활 속에 이어가련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5-04-17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