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들키지만 않으면 악마도 된다 - 마쓰시타 고노스케와 한비자의 가르침
하야시 히데오미 지음, 이지현 옮김 / 전략시티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이기주의자의 세상에서 경영하기, 그리고 함께 살아가기는 쉽지 않다. 물론 자기 스스로 이기적인 태도를 보여 주변 사람들과 마찰을 야기하며 진행할 수도 있지만, 조화를 만들어 낼 수 없는 한계가 있고 결코 올바른 방법도 아니다. 결국 악마와 같은 사람들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살아가는가의 문제인데, 이를 두고 마쓰시타 고노스케는 자신만의 방책을 담담히 세상에 내어놓았다. 한비자의 관점이 담긴 세상 관점,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경영 분야는 역시나 이익이 최우선인 까닭에 사람들을 통솔함에 있어 권력과 돈이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인격, 성품 등도 당연히 경영인으로서 갖춰야할 덕목이지만, 이기적인 세상, 이윤 중심의 세상 속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히고 큰 회사를 끌어가고 조직 생활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역시 악마적 기질을 용인하고 이용하는 수밖에는 없다. 어떤 식으로 자신과 조직의 악마를 조화로 이끌 것인가는 항상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나쁜 상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일단 상대를 이해하라는 데부터 시작한다. 상사의 지위를 우선 책임을 완수하는 입장이라고 전제하면 그의 독재적 태도, 비관용적 태도가 조금은 이해가 간다. 인간적으로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태도는 당장은 참아내야겠지만, 업무의 완수 차원에서 악마적 기질을 넘어서야 한다. 악마와 같은 상사는 결국 사람을 잃게 된다, 악마를 천사로 바꾸자는 취지가 아니라 조직에서 결실을 이뤄내는 데 악마와 같은 기질에 휘둘리지 말고 더 현명히 움직이자는 데 비중을 둬야 한다. 조직에는 2:6:2의 법칙이 있다고 한다. 20%는 조직의 미래를 짊어진 능력있는 사원, 20%는 언제나 앞으로 나아가는 회사의 발목을 잡아 느리게 만들어버리는 사원, 60%는 이도 저도 아닌 눈치만 보는 평범한 사원. 저자는 60%가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전진과 후진의 20%의 기운이 60% 사원의 방향을 결정하고, 전진에 이를 때 비로소 조직은 발전하는 것이다. 이 비중이 조금은 과하다는 감도 든다. 능력은 10%, 평범은 70% 무능력은 20%가 현실적 비중이 아닐까 싶다. 한비자의 관점이 조직에는 보다 적합하다는 현실적 사고를 뒷받침하는 사례는 도처에 널렸다. 이 책을 통해 악마적 기질을 어떻게 이용해야 더 나은 조직 생활이 가능한지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