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해체
스티브 사마티노 지음, 김정은 옮김 / 인사이트앤뷰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파편화라는 어휘가 주는 어감이 단속적이고 비규합적이라 회색 빛깔이 감돌지만, 미래는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이라는 전망에서 세밀화가 진행된 파편화가 분명 핵심 사항이 되리라 기대한다. 디지털이 권력을 쥐어가는 이유도 빅데이터부터 전 방위 연결된 사물 인터넷의 등장과 궤를 같이 한다. 초연결 시대에 집단 마케팅은 과거만큼 효용을 발휘하지 못한다. 3D 프린트가 가정 내 제작 도구로 자리잡을 때면 현재처럼 제조업의 위세가 이어질 수는 없을 것이고, 각종 현대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인간의 건강을 점검하는 상황에서는 의료 진단의 과다 비용 책정도 옛말이 될 것이다. 파편화는 이미 우리 생활에 와 있다. 마케팅은 점차 개인화되고 있고, SNS의 개인 채널을 통해 어느새 우리 삶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쏟아지는 새로운 기기는 언제나 편의 신장을 바탕으로 한다. 구글 글래스는 상상 속에 있던 사물이지만, 점진적으로 생활권으로 들어오고 있고, 차량 블랙박스도 메모리 용적의 증가에 힘입어 급속도로 생활권에 소속되어었다. 이로 인해 해결이 어려웠던 문제가 증거자료로 남아 신속히 갈등 해소로 이어졌다. 위대한 해체는 힘의 파편화를 의미하며 기술적으로는 위대한 연결을 지향한다. 소비자는 변화에 부응하면 그만이지만, 기업 입장은 상당히 곤란한 상황이다. 기존 시장의 프레임이 파괴되고 있어서 권력 유지 기반을 잃고 있어 위기이며, 살아남기 위해 더욱 기술에 매달려야 하는 형편에 이르렀다. 유통 시장에는 직접 구매가 대세를 이루며 그간 시장간 이동에 따른 부수 비용의 가격 전가를 피하는 소비자가 급증했고, 유통 분야도 새로운 형태로 자리를 가다듬고 있다. 게다가 실시간 가격 비교가 가능해지며 타당성 없는 고가는 경쟁력 상실의 단초가 되어버렸다. 새로운 경제체제에서 소비자는 편의를 만끽할 수 있지만, 일자리 감소도 불가피한 전망이라 어느 누구 쉽지 않은 세상이 되고 있음을 실감한다.금융과 미디어 분야도 마찬가지다. 권력의 방비가 하나 둘씩 무너져내리고 있다. 빅데이터로 집적된 지식과 정보가 논리의 아웃소싱이라는 이름으로 컴퓨터 연산에 맞겨지면서 더욱 빠르고 정확한 판단 체계가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어서 미래는 정말로 대단한 변혁이 이러나는 혁명적 시간이 되리라 예상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제 정말 인터넷을 없는 시대가 오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