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투 원 - 스탠퍼드 대학교 스타트업 최고 명강의
피터 틸 & 블레이크 매스터스 지음, 이지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시간이 간다고 미래가 되진 않는다. 제로에서 원을 만드는 데 필요한 건 무엇일까. 원이 바라보는 목표는 허무주의보다는 교조주의에 가깝다. 광신도가 팬덤을 이뤄 매출은 비약적으로 신장하고 언론에서는 연일 기대가 만발하며 주가는 꾸준히 오른다. 이런 내용을 보면 떠오르는 기업, 현재로서는 유일한 기업은 애플이다. 저자는 페이팔 창업주 중 한 명인데, 재기발랄함은 인물됨을 책으로만 만나 크게 느껴볼 수는 없었지만, 적어도 실행력과 트렌드 파악 능력은 확실히 우수한 건 맞는 듯 하다. 독점 기업이 되라는 건 스타트업에 있어 기술력을 확실히 준비하라는 의미와 동일하다.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분야에서 IT기업의 백만장자가 많이 탄생하는 것도 사실 기술 우위와 선점에 기인한다. 빌게이츠가 대표적이다. 경쟁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사실 백만장가의 반열에 오르기는 식은 죽 먹기보다 쉽다. 물론 빌 게이츠처럼 집중 견제를 받고 위기에 처할 수도 있으나 일종의 통과의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황이라 크게 개의치 않는다. 스티브잡스는 흐름을 읽고 집중하는 능력이 최강이고, 앞으로도 잡스를 능가할 인물이 과연 얼마나 나올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로 독보적인 역량을 보였다. 책에 나오는 인물은 상당히 많다. 앨런 머스크, 리차드 브랜슨, 마크 쥬커버그 등이 주류를 이룬다. 페이팔의 창업 스토리에서 저자가 분석한 창업자 유형은 매우 신선했다. 책벌레와 운동선수급 활력가, 아웃사이더와 인사이더 등의 대조 속성을 정규분포의 모양을 따라 비교했는데,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일정한 유형이 없다는 점이다. 저자 본인 스스로도 자신은 인사이더이자 아웃사이더라고 규정했다. 스타트업은 로또가 아니라는 지적도 마음에 들었다. 스타트업은 엄청난 분석이 뒤따르고, 홍보, 광고, 마케팅 등 다루지 않으면 안 될 것들이 산적해 있는 쉽지 않은 과정이다. 낙관적인 자세는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록지 않다는 점을 저자는 강력히 알리고 있다.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가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건 자신의 사업의 미래를 먼저 그려낼 수 있는 능력과 당당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야후는 그렇지 못해 기업 가치가 형편없었다. 저자는 앨런 머스크에게 만점의 점수를 주었다. 그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업을 예로 들어 적기에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경제 지표 해석법도 짧게 소개하고 있어 혁신적 기업을 만드려는 사람에게 더없이 큰 도움을 준다. 창조적 독점기업, 구글이나 테슬라처럼 되기 위해 스탠퍼드의 명강의로 유명한 제로투원은 창업 마인드셋을 준비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