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이야기 - 내 딸과 딸의 딸들을 위한
플로렌스 윌리엄스 지음, 강석기 옮김 / Mid(엠아이디)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가슴에 대해 이토록 집중적이며 인문학적 통찰이 스며든 책은 없었던 것 같다. 인간의 사회가 젖가슴에 어느 정도 연결되어있는지 상상하기 힘들 정도다. 여성의 성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젖가슴은 애로티시즘의 소재이자 갓 태어난 아이의 영양분으로 상반된 특성을 갖고 있어서 매력적이자 신비롭기도 하다. 현 사회의 여성은 발육이 잘 된 가슴을 성적 매력과 동일시하고 있는데, 이에 관한 성형외과 내용의 설명도 중반에 나온다. 다양한 크기의 삽입 모형물과 시간이 지나면서 평균적으로 커진 여성의 가슴 사이즈도 원인을 살펴보며 읽는다면 상당히 흥미롭다. 게다가 환경 오염에 노출된 모유도 놓치지 않고 꼬집고 있다. 상식적으로 여성의 신체에서 생산되는 모유가 환경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는 데, 무방비로 오염된 모유를 먹고 아이들의 건강 상태가 훼손될 수 있다는 점은 엄마들에게는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사랑스러운 아이에게 물리는 젖이 오히려 해가 된다는 데 행복할 엄마는 없다. 레이첼 카슨이 침묵의 봄에서 강력하게 경고의 메세지를 날릴 DDT는 환경적 재앙을 불어일으켰고, 이는 자연의 일부인 여성, 그리고 태아, 이어지는 모유의 오염으로 충격을 안겼다. 남성의 정자수도 환경 오염에 의해 줄어들어 임신 가능성을 낮추고 건강하지 못한 정자가 난자를 만나 인류 전체에게도 보이지 않는 손실을 야기한다. 성적으로 고환 이야기도 짧게 소개된다. 동물의 세계에서 수컷의 큰 고환은 정자수의 증가를 의미하고, 이는 바람기 있는 암컷의 난교에도 불구하고 정자수로 번식에 성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다. 큰 고환은 유전적으로 우성이며, 세대를 거듭해 큰 고환이 이어지고, 이는 강력한 유전자의 존속을 의미한다. 유방암도 빠질 수 없는 소재이자 심각한 문제로 당연히 거론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남성도 유방암에 걸린다는 점이다. 여성의 발병률에 비하면 1%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남성도 유방암에서 완벽히 벗어나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다행인 건 남성 유방암이 여성 유방암의 해결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의학 보고가 그나마 위안이 된다.여성만이 과감히 쓸 수 있는 젖가슴을 소재로 저자는 너무나도 유익한 이야기를 끝까지 펼쳤고, 금기화되었던 이야기를 인문과 역사를 곁들어 읽었더니 후련한 마음도 든다.딸과 딸의 딸을 위한 책이라는 점에 전혀 손색이 없다. 오히려 여성을 포함해 남성도 반드시 알아야 할 상식이 많아 아들과 아들의 아들도 읽어야 할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