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과학도에게 보내는 편지 -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과학자 <개미>, <통섭>의 저자 에드워드 윌슨이 안내하는 과학자의 삶, 과학의 길!
에드워드 O. 윌슨 지음, 김명남 옮김, 최재천 감수 / 쌤앤파커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끝까지 겸손한 최고의 생물학 교수. 에드워드 윌슨. 그는 현재도 하버드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워낙 다작으로 유명한 교수고, 그 분야가 공룡부터 미생물까지 퍼져 있어서 그의 작품을 읽노라면, 200년은 살아온 듯한 인상을 받는다. 실로 방대한 저작에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마치 정약용의 저서처럼 말이다. 이 책은 대중을 위한, 즉 젊은 과학도에게 그의 조언을 건네는 책이라 매우 쉬운 편이다. 다른 작품을 읽다보면 그의 엄청난 지식에 그저 혀를 내두를 뿐이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십시오라는 그의 조언은 엄청난 울림이 있다. 뉴턴이 한 말이지만, 윌슨이 해도 만만찮은 인상을 남긴다. 통섭과 개미, 그의 관찰력과 인내력, 그리고 창의력은 항상 나를 놀래킨다. 만약 과학자가 될 기회가 있었더라면, 또한 그런 결정을 할 때 에드워드 윌슨의 책을 먼저 만났더라면, 분명 나는 과학자가 되었을 것이다. 내 취향과 성향과 거의 90%이상 일치하는 면모를 지닌 과학자이기 때문에 롤모델로 평생 영향을 미쳤으리라 짐작한다. 이렇게 유명하고 대단한 교수도 하버드에서 쫓겨날 뻔한 사건이 있었고, 수학을 연마하느라 고생했다. 수학을 힘겨워하는 과학도나 이공계 학생들에게 그는 조언을 건넨다. 수학도 언어처럼 연마하면 어느 정도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이다. 그러면서 그는 부분적으로나마 수학적 재능을 선척성에 두는 한계도 인정했다. 편차를 인정한 건데, 이는 과거 대단한 과학자 중에서 수학에 약했던 사례를 통해, 그리고 본인 사례를 통해 어느 정도 검증한 바가 아닐까 싶다. 다윈은 수학을 스스로도 내려놔버릴 정도로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런 정보를 이론적 과정을 통해 경지로 이끌어올렸다. 반면, 수학 천재나 마찬가지였던 뉴턴은 자신의 상상력에 살을 붙이기 위해 미적분을 만들었다. 그 어려운 미적분을 단순히 본인의 상상력에 진일보하기 위함이었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윌슨은 이런 천재적 사례를 보며 통계학자나 수학자와 협업하라고 한다. 그런 과정에서 스스로 수학을 연마함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거듭 강조한다. 수학적 해결 능력만으로도 대단한 업적, 그 자체로 과학자로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하는 데는 역시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겠다는 걸 충분히 헤아려볼 수 있다. 과학자는 복합지식, 인내력, 집중력이 필요하고, 다른 걸 하면서도 과학을 떠올리는 생활 속의 과학이 중요하다고 한다. 발상을 위해서 말이다. 윌슨은 역시 대단한 교수이자 최고의 생물학자다. 존경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