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를 사랑한 프로이트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김성환 옮김 / 새로운현재(메가스터디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프로이트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정신분석이라니 생소하지만, 워낙 역사적으로나 업적 면으로 유명한 두 분의 이야기가 기술된 이 책은 그저 읽는 행위만으로도 풍성한 느낌이 왔기에 무척 즐거웠다. 미술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일화를 적지 않게 접했을 것이다. 이 책에서도 그의 이야기가 아주 자세히 나오는데, 동성애자부터 사생아라는 기록들도 나오는 까닭에 몰랐던 분들은 적잖이 놀랐을 수도 있다. 심리학적 분석은 한 개인의 무의식에 미치는 환경 요소를 중요하게 다루므로 사생아였던 점과 부친 없이 자란 점들이 그의 창의력과 자유분방함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역시 프로이트는 분석 면에서 매우 탁월하다. 게다가 모나리자의 입꼬리에 그려진 스푸마토 기법이 사생아인데다가 동성애자라는 그의 개인사가 탄생시킨 방법이라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남자는 어머니를 거쳐 성적 성인으로 자라난다. 어머니와 밀착한 관계로 유년기를 보낸 다빈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영향을 여실히 보여주는 한 남성으로서 흥미로운 사례이기도 하다. 단순히 세계 미술사에 등장할까말까 한 천재, 다방면에서 몇 백년을 앞서간 천재 중의 천재로 그를 다루지만, 프로이트에게는 특별한 무의식 체계를 갖춘 한 남성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분석에 힘입어 그의 천재성이 어디서 발원했고, 왜 그런 형태로 발산했는지 조금은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한 사람의 인생 속에는 정말 다양한 요소가 그의 인성과 성격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이 책을 통해 일부러 다빈치처럼 자식을 키워보면 다빈치처럼 천재가 될까라는 쓸데 없는 상상도 해봤다. 정신 분석으로 치유의 힘을 창출해 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불안한 정서의 사람들을 치유하는 체계가 생기길 바라본다. 책은 활자도 크고 여백도 많으며, 무엇보다 다빈치의 그림이 자주 등장해 편안하게 어려운 정신 분석을 만날 수 있다. 프로이트의 책이지만, 그의 저작 중에서는 아마 가장 읽기 쉬운 책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친절한 설명과 완벽에 가까운 분석에 감탄하면서 책을 읽었다.기회를 만들어 그의 시리즈 저작도 한 번 읽어봐야겠다. 이 책은 다빈치를 비롯해 프로이트의 철학까지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에 의미가 상당히 크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