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류의 씨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3
이디스 워튼 지음, 송은주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틀리는 하녀로 일할 집에 도착하고 복도에서 만나게 된 앞치마를 두른 하얀 얼굴에 마른 여자를 봤지만 그 여자는 하틀리를 의식하지 않았다. 이상한 점이 있었다. 집 안에는 마님의 방에서 하녀들의 방에 연결된 종이 있었는데 종을 사용하지 않고 하녀를 시켜서 하녀를 부른다는 것이었다. 하녀의 종은 애그니스를 부를 때만 울렸다. 전에 이 집에서 일했던 에마 색슨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다들 당황한다는 사실. 죽었다는 에마 색슨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 집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왜 하녀의 종은 사용하지 않는 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색 여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이스를 마녀로 낙인찍은 사람들. 그들이 회개한다고 뭐가 달라지나? 용서를 받는 일이 과연 옳은 일인가? 세일럼 마녀 파문 건을 무지와 실수라고 치부하고 문서에서 관련 문장을 지운다고 해서 있었던 일이 없었던 일이 되는 것은 아닐 텐데. 누가 누구를 용서해야 하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용서할 사람들은 이미 다 죽고 없는 마당에. 남아 있는 자들은 자신들의 평안을 위해서 용서를 갈구하기 위해 금식을 하고, 기도의 날을 정하고 그날을 죽을 때까지 기억해야겠지. 그래서 현재를 사는 사람들은 똑같은 잘못을 하지 않기 위해 역사를 알아야 하고, 과거를 기억해야 하는 것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류의 씨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3
이디스 워튼 지음, 송은주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샬럿은 남편의 사랑을 듬뿍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는 주부의 이야기이다. 남편의 보호 아래 안정된 삶을 위해 선택한 결혼이었지만 그 대신 샬럿은 주부로서의 역할만이 강요되는 생활을 하고 있다. 변호사인 남편은 바쁘게 살지만 그녀와 일에 대해선 절대로 말하지 않는다. 집으로 온 회색 봉투는 누가 보낸 것이고, 남편은 도대체 어디로 사라져 버린 걸까? 석류와 관련된 그리스 신화 이야기는 바로 하데스의 아내 페르세포네와 관련이 있다. 제우스와 데메테르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하데스에게 납치를 당하게 된다. 하데스는 그녀와 결혼을 하기 위해 지하세계의 음식인 석류를 먹으면 집으로 보내주겠다는 말에 페르세포네는 기쁜 마음으로 석류를 먹지만 그건 거짓이었다. 지하세계의 음식을 먹으면 영원히 돌아갈 수 없는 처지가 되는 것이었는데 엄마 데메테르가 너무나 슬퍼해 극심한 가뭄이 계속되자 제우스의 중재로 1년에 4개월은 지하세계에서 지내게 되고 나머지 8개월은 엄마 데메테르와 함께 지낼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 그 편지는 지하세계에서 온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색 여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편이 죽으면 남은 부인과 아이들은 왜 다른 누군가의 집에 의탁하거나 그들의 집으로 들어가는 것일까?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여성은 봐 줄 수가 없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었을까? 새로 들어가서 살게 된 대저택에는 비밀의 방들이 많았다. 그레이스 양과 퍼니벌 양의 초상화를 본 것을 비밀로 해달라고 하는 도러시는 왜 비밀로 해야만 했을까? 그레이스 양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폭풍우가 몰아치는 겨울밤에 오르간을 치는 사람은 누구일까? 스멀스멀 공포의 그림자가 피어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색 여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에 익숙한 이름은 아니었던 엘리자베스 개스켈은 첫 작품 <메리 바턴>(1848)으로 찰스 디킨스에게 엄청난 찬사를 받은 작가로 <남과 북>을 찰스 디킨스의 잡지에 연재하기도 했다. 도대체 얼마나 잘 썼길래 그 유명한 찰스 디킨스가 찬사를 아끼지 않았을까?


한 권에 모여 있는 세 편의 단편들을 읽을 때마다 어떻게 이렇게 다른 감정들이 남을 수 있을까? 또,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 '이렇게 단편을 잘 쓰는 여성작가를 휴머니스트 덕분에 알게 되어서 정말 다행이다.'란 생각을 했다. 특급으로 칭찬해~~드립니다.


<회색 여인>의 주인공 아나는 주변의 분위기 때문에 등 떠밀려서 잘 알지도 못하는 남자 투렐과 결혼하게 된다. 하지만 남편의 비밀을 우연히 알게 되고 하녀 아망테와 도망을 치게 되면서 스릴 넘치는 추격전을 보여준다. 남편의 추적을 피하는 방법으로 아나와 아망테는 부부로 위장하게 된다. 이 짧은 단편 속에서 보여주는 추격전은 영화로 만들어도 끝내주는 장면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마지막에 나오는 반전으로 다시 읽어봐야 했던 진짜 짜릿한 소설이었다.


<마녀 로이스>는 1692년 미국 뉴잉글랜드 지역의 세일럼 마을에서 5개월 동안 벌어졌던 마녀재판으로 185명이 감옥에 갇히고 그중 25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일럼 마녀 파문 사건'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청교도 교회에서 두 집단의 갈등을 둘러싸고 종교란 이름으로 행해졌던 인간의 집단적 광기가 만들어낸 살인사건이라고 밖에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종교 박해를 피해 영국에서 넘어온 이민자들을 또다시 종교란 이름으로 잡아다가 재판을 하고 교수형을 당하다니, 로이스는 마지막에 자신의 고향땅을 떠올리면서 엄마의 품으로 돌아갔으리라. 역사적 순간들이 눈앞에서 펼쳐지듯 생생해서 가슴 한편을 저릿하게 만든 이야기였다.


<늙은 보모 이야기>는 '그래, 바로 이 맛이지!'. '고딕 소설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마!', '아주 칼을 갈았네, 갈았어.'라는 문장으로 밖에는 표현할 수가 없다. 폭풍우치는 크리스마스 즈음 유령이 나타나고 비밀이 있는 가족과 외국인 음악가라는 양념을 쳐서 한꺼번에 뒤흔들어버리는 비극을 보여주고 있다.


새롭게 만나본 휴머니스트의 세계문학 시리즈 중 첫 번째로 읽어본 <회색 여인>은 너무나 신선한 충격을 전해주었다. 엘리자베스 개스켈의 다른 작품들도 너무 궁금해졌다. 세계문학하면 톨스토이나 헤밍웨이가 떠올랐는데 흄세 시리즈로 여성작가들의 새로운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었던 점이 너무 좋았다. 다음 시즌은 영미권이 아닌 낯선 나라들의 문학을 접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도 생긴다. 4개월마다 선물 받는 기분으로 휴머니스트의 흄세 시즌 2를 기다려본다.


p.s. 판형도 작고 가벼워서 핸드백에 쏙 들어가게 생겼다. 외출할 때 가볍게 챙겨서 늦을지도 모를 친구를 기다리는 시간에 만나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