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인간혐오자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5
몰리에르 지음, 김혜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몰리에르(Molière)는 예명으로, 본명은 장 바티스트 포클랭(Jean-Baptiste Poquelin)이다. 법학 학위를 취득했으니 변호사가 되거나 왕실의 어용 실내 장식가였던 아버지의 가업을 물려받는 안락한 삶을 선택하는 대신 그 당시 천대받는 극단을 선택하게 된다.



깊은 감동을 주는 비극을 쓰고 싶었지만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희극을 써야만 했다. 그래서인지 몰리에르의 희극은 비극에 가깝다. 1643년 친구들과 일뤼스트르 테아트르 극단을 창단했지만 1645년에 경영 악화로 문을 닫게 되고, 남은 빚 때문에 감옥에 들어가게 되자, 아버지가 대신 빚을 갚아주게 된다. 그 후 13년 동안 몰리에르와 아내 베자르는 유랑 극단을 따라 프랑스를 유랑하면서, 기아와 빈곤의 고통을 충분히 경험하게 된다. 자신이 경험한 삶의 고난은 그의 작품 속에 고스란히 녹아들게 된다.



드디어 1658년, 어린 루이 14세의 궁정에서 막간 희극 공연으로 드디어 총애 받는 연극인이고 자기 극단의 배우이자 운영자 겸 극작가의 삶을 살았던 몰리에르. 비극을 쓰고자 했으나 희극으로 명성을 얻게 된 몰리에르의 삶은 비극일까? 희극일까?



17세기의 프랑스 고전주의 희곡작가로 <인간 혐오자>는 그의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프랑스 근현대 문학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위선과 환멸로 가득했던 당시 프랑스 사교계를 낱낱이 파헤친 작품으로 사랑과 배신이 난무하는 사회에서 탈출을 시도한 작품이다.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고, 위선적인 사회 문제를 비판하고, 차가운 태도로 세상을 냉소한다.



스무 살에 과부가 된 셀리맨은 살롱의 주인이었다. 그녀는 얼굴은 아름다웠지만 그녀의 입을 통해서 나오는 말들은 앞뒤가 달랐다. 셀리맨은 4명의 남자들에게서 동시에 구애를 받고 있지만, 어장관리하는 인싸처럼 자신의 진짜 속마음을 확실하게 보여주지 않는다.



인간을 혐오하는 귀족 알세스트는 거짓을 말하지 못한다. 17세기 귀족사회의 겉치레를 경멸하고, 상대방이 불쾌함을 느낀다고 해도 면전에 대고 진실만 말하는 알세스트는 영화 <정직한 후보>에 나오는 주상숙처럼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해야 하는 정치인이 거짓말을 못 하게 만들어 버린 영화처럼 이 세상을 비틀어서 보여주는 인물이다.



극과 극은 통하는 것일까? 거짓을 말하지 못하는 알세스트가 험담을 하는 셀리맨을 사랑하게 되는 아이러니.



1막에서 알세스트와 오롱트는 소네트를 가지고 논쟁을 벌이게 된다. 왕에게 인정받았다는 자만에 빠져 있던 오롱트를 일말의 거짓 없이 조롱하는 알세스트를 고소하고야 만다. 둘의 대화를 듣고 있으면 위선과 가식이 철철 흘러넘친다.



알세스트는 셀리맨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까? 아니면 다른 커플이 탄생할까?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인간혐오자 #몰리에르 #미래와사람 #읽기쉽게풀어쓴현대어판 #시카고플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