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로마 신화 4 : 인간의 다섯 시대 프로메테우스 대홍수 - 정재승 추천, 뇌과학을 중심으로 인간을 이해하는 12가지 키워드로 신화읽기 그리스·로마 신화 4
메네라오스 스테파니데스 지음, 정재승 추천 / 파랑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완독서평]


<그리스 로마 신화 4 : 호기심>


호기심이 뭘까? 사전을 펼쳐보면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좋아하거나 모르는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어렸을 때는 모든 것들이 그저 신기하고 궁금했었는데 이런 호기심이 발동하지 않는 상태를 '늙었다'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인간에게 호기심이 없었다면 과학이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을까? 그리스 로마 신화를 호기심이라는 키워드로 살펴보자.



신들이 인간을 다섯 번 창조했다고 믿었고, 인간의 다섯 시대는 황금시대, 은 시대, 청동 시대, 영웅시대, 철의 시대로 불렀다. 늙거나 병들지 않고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다가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한 황금시대, 선악을 구분할 수 없었고 고통과 슬픔으로 가득 찬 삶을 살면서도 신에게 복종하지 않았기에 제우스의 분노로 저승의 검은 구렁텅이로 보내 버린 은 시대, 제우스가 청동 옷을 입고 청동 무기를 사용하던 인간들은 점점 건방지고 자만심으로 가득 찼던 청동 시대, 헤라클레스, 테세우스, 이아손, 아킬레우스 등이 등장하게 되는 영웅시대를 지나, 철을 사용하는 노동자들의 삶은 늘 고단하고 일을 해야만 했다. 하지만 영웅시대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던 호메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페데스, 아이스킬로스가 불멸의 비극을 공연하게 되었다.



청동 시대 사람들이 거만해져서 제우스가 암흑의 왕국으로 보내버렸을 때, 인간들은 아직 불을 만드는 법을 몰랐다. 그때 인간을 너무나 사랑했던 프로메테우스. 그는 헤파이스토스의 대장간에서 불을 훔쳐서 인간에게 선물하고 여러 가지 기술도 알려 주었다. 짐승을 길들이는 법도 알려주고, 말을 타고, 전차를 몰로, 배를 타고 바다를 항해하는 것도 모두 알려주었다. 약초를 끓여 약으로 만드는 법도 알려주고 질병으로 죽음에서 조금은 멀어지게 만들어 주었다. 언젠가는 죽을 운명인 인간을 너무나도 사랑한 프로메테우스!



날개 달린 발 빠른 신 헤르메스가 제우스의 명령을 받고 꽁꽁 묶여 있는 프로메테우스 앞에 나타났다. 프로메테우스를 설득하고자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자유로워질 때가 온 것을 알고 있었다. 프로메테우스는 헤르메스에게 어떤 위대한 비밀을 들려주었기에 스스로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을까? 프로메테우스는 영웅 헤라클레스를 긴 세월 동안 기다려왔던 것이다.



제우스의 형벌을 받으면서도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을 사랑한 프로메테우스. 끝이 없는 신의 입장이었기에 죽음이라는 끝이 있는 인간을 사랑했으리라. 헤라클레스의 호기심이 없었다면 프로메테우스는 그 사슬에서 풀려나지 못했을지도. 헤라클레스의 호기심이 무서운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게 한 원동력이었으리라.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사랑이 비극적으로 끝난 것도 뒤돌아보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할 만큼 잘 따라오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 호기심 때문이었다. 이처럼 인류사는 호기심 때문에 울고 웃는 일이 많았을 것이다. 오랫동안 아이 같은 호기심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본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그리스로마신화 #메네라오스스테파니데스 #파랑새 #갈등 #정재승 #리투서평단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