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 서양 편 -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 시리즈
한영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지원도서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나? 란 질문에 답을 찾아보기 위해서 요즘 지리와 관련된 책들을 찾아서 읽고 있다. 그러다 문득 눈에 띈 발간 소식에 먼저 읽어 보게 된 책이다. 책 제목을 보고 두 분의 선생님이 공동저자인 줄 알았는데(띄어쓰기가 없었.ㅋ) <두선생의 역사공장>이라는 유튜브 채널명이었다.



지리라는 공간 위에 시간이 흐르면서 기록으로 남아서 역사라는 이름으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과거가 어떻게 흘러왔는지를 뒤돌아 볼 수 있게 만들어 주고 있다. 역사 속에서 지리적 위치가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학교 다닐 때 국사, 세계사 선생님들이 칠판에 그렇게 지도를 그렸던 이유와 통하는 듯! 역사를 왜 국사와 세계사로 나눠서 가르치는지는 아직까지도 이해할 수가 없다.



서양편으로 먼저 지리 여행을 떠나는 곳은 중동, 유럽, 미국, 중남미, 아프리카로 다섯 챕터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가장 좋았던 점은 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핵심사항을 정리해 놓은 부분과 중간중간 그려져 있는 간단한 지도는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세계의 화약고라고 불리는 '중동'에 대해 유럽의 시각으로 만들어진 용어에 대한 설명과 이슬람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곳을 포함해야 한다는 새로운 시각에 아~ 내 사고도 서양식 사고에 이미 물들어 있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었다.



유럽에 왜 이렇게 나라가 많을까? 그것도 지리적 환경 때문이다. 산, 강, 바다에 따라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국가들로 다양하게 발전해 왔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아프리카를 그렇게 자를 놓고 자른 국경선을 보면 어이가 없기도 하다.



미국은 태평양과 대서양이, 북쪽은 얼음 땅이, 남쪽은 소노라 사막과 치와와 사막으로 둘러싸인 천연 요새의 형태로 국경이 여러 나라와 맞닿아 있는 유럽처럼 전쟁을 치를 이유가 없었고 내전이었던 남북전쟁으로 분리되지 않고, 지리의 힘으로 지금의 초강대국이 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읽고 지나친 지리 결정론에 빠지지 않기를 당부하고 있다. 지리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리적 환경에 적응하면서도 극복하는 과정이 인류의 역사 속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속으로 친구와 가볍게 수다 떨듯이 세계 여행을 떠나보면 좋을 듯하다.



p.s. 저자의 집필 시 참고 서적으로 <지리의 힘>, <오리진>, <총, 균, 쇠>, <세계지리>, <모자이크 세계지리>, <세계 지명 유래 사전>, <혈통과 민족으로 보는 세계사>, <두산백과> 등이 있다.


#두선생의지도로읽는세계사 #한영준 #21세기북스 #지리 #지리로역사아는척하기시리즈 #서양편 #세계사 #역사 #서양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