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일준의 나주 수첩 1 - 송일준과 함께 하는 즐거운 나주 여행 송일준의 나주 수첩 1
송일준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을이면 나주배! 겨울이면 나주곰탕! 배와 곰탕만 생각나는 나주가 품고 있는 역사와 이야깃거리가 이렇게까지 풍성할지 몰랐다. 작년에 제주도에 여행 갈 때 <송일준 PD 제주도 한 달 살기>를 들고 간 기억이 있다. 제주도 한 달 살기가 유행처럼 퍼지고 있었던 때라서 한 달 동안 제주에서 거주하는 사람은 어디로 여행을 다니는지 궁금했었다.



이젠 자신의 고향인 나주 오래 살기를 하며 나주 구석구석을 다니며 작은 수첩에 적은 것 같은 나주 여행 에세이가 나왔다. 서울에서 살다가 퇴직 후에 고향으로 내려가는 큰 결심을 하게 된 이유는 뭘까? 궁금해지는 대목이었다. 친구들과 유년 시절의 추억이 있다고 해서 덜컥 시골로 내려가긴 힘든 결정이지 않았을까?



나주라는 도시 이름은 고려 혜종 때부터 쭈욱 나주라는 이름으로 불린지 천년이 넘은 오래된 도시다. 우와~ 천 년이라니. 그런데 왜 천년고도라고 하면 경주만 생각나는 걸까? 저자는 역사와 관련된 관광 콘텐츠로 만들지 못했고, 홍보 부족으로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한다.



관광지로 성장하려면 볼거리와 먹거리가 있어야 한다. 나주에는 유명한 나주곰탕이 있고, 600년 역사의 홍어 음식 거리가 있고, 나주를 관통하고 있는 영산강이 흐르고 있는데 그런 풍성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관광 콘텐츠와 홍보로 연결시키지 못했다고 보고 있다.



송일준 작가가 구석구석 다녀본 나주를 들여다보자. 제주에서 한 달 살기를 할 때 제주도 표선에 나주 금성산신을 모시는 신당이 있었는데 제주와 나주를 이어주는 전설이 있다. 나주 금성산에 살던 '천구아구대멩이'라는 뱀이 제주도 서귀포 토산에 좌정하였다고 한다. 나주의 쌀 문화가 제주에 유입된 것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다. 그 옛날 영산강을 통해 외국 배들이 드나들 정도로 개방된 지역이었는데 현재는 하구언으로 막혀있다.



천년 고도인 나주에는 544년 백제시대에 창건한 미륵사가 덕룡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미륵사에는 '보물 461호 마애칠불상'과 '보물 462호 석조여래 입상' 보물이 2점이 있다. 특이하게도 이 보물들은 고려 시대의 작품이다.



무안 백련지 연꽃 축제는 하얀 연꽃으로 유명한 곳이다. 하지만 나주에 무안 백련지보다 무려 십만 평방미터가 더 큰 연못이 있다고 한다. 넓이 43만 평방미터의 우습제로 오백 년 전에 만들어진 곳이 있는데 '우습제 생태공원 홍련 군락지'라는 팻말이 있지만 안타깝게도 관리가 잘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와 목포 사이에 위치한 나주에는 왜 유명한 지역축제가 없을까? 나주 축제를 검색해 보니 한수제벗꽃축제, 영산강홍어축제, 마한문화축제가 나온다. 나주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텐데 나주라는 지명을 넣어서 홍보를 한다면 더 큰 효과가 있지 않을까?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송일준의나주수첩 #송일준 #스타북스 #나주수첩 #나주여행 #천년고도 #영산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