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덴 대공세 1944 - 히틀러의 마지막 도박과 제2차 세계대전의 종막
앤터니 비버 지음, 이광준 옮김, 권성욱 감수 / 글항아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쪽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동쪽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동서부 전선에 있는 연합군과 소련군은 누적된 피로와 보급 문제로 잠시 소강상태에 있었다.


히틀러를 암살하려던 시도가 불발로 끝나자 히틀러의 광기에 불을 지피게 되었고 전쟁 초기의 영광을 떠올려서였을까? 아르덴을 돌파해서 프랑스를 점령했던 것처럼 아르덴을 돌파해서 전세를 뒤집어 보겠다는 아르덴 대공세 작전을 명령하게 된다.


벨기에의 안트베르펜 항구를 다시 점령해서 연합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면 전세를 뒤집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아르덴을 돌파하고자 동부 전선의 병력을 빼내어 서부 전선으로 대규모 병력을 이동하고 1944년 12월 16일 최후의 도박을 벌이게 된다.


연합군은 전쟁이 곧 끝날 거라 확신하고 있었기에 독일군이 절대로 아르덴으로 공격을 해 올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특히나 나무로 빽빽한 아르덴 숲에 전차가 나타나리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작전이었다.


히틀러는 더 이상의 후퇴는 없으며 남은 전력을 총동원하여 서부 전선을 반격하기 위한 대규모 기습작전이 시작된 것이다. 12개 기갑사단, 18개 보병사단, 항공기 1500대로 단숨에 방어선을 돌파하고 뫼즈강까지 진격하여 벨기에 북부 항구 안트베르펜을 탈환하고자 시작된 아르덴 대공세.


12월 16일 새벽, 판터와 티거 전차를 앞세운 히틀러 최후의 정예부대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작전명 가을 안개Operation Autumn Mist' 이른바 '아르덴 대공세' 또는 '벌지 전투'라고 불리는 거대한 싸움이다.


연합군의 수뇌부는 히틀러가 상식 밖의 충동적 행동을 하는 인물인지를 간과했고, 히틀러는 연합군의 병사들을 너무 얕잡아 보았다. 히틀러가 저지른 최후의 도박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실패로 끝나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었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고 민간인들은 학살과 보복 사이에서 더 많은 고통을 감수해야만 했다.


전쟁의 승패를 판가름하는 건 무기의 첨단화가 아니라 인간의 정신력과 의지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전장에서 지휘관의 리더십과 두려웠을 텐데도 도망가지 않고 그 자리를 버텨낸 병사들의 투지에 작은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