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중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고전수필 15편이 실려있다.
학생 때 본 적이 있었던 기억이 가물가물한 작품들을 다시 마주하게 되어서 반가운 마음이었다. 

평론집이니까 이제 저자의 생각을 들여다보자.
우리의 고전문학에서 서구의 에세이에 해당하는 글은 한 편도 없다. 갑오경장 이후 우리 수필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을 때, 슬그머니 서양의 에세이가 들어왔다. 이때 우리 수필을 에세이처럼 써야 한다는데 동의하게 되었다. "수필이란 글자 그대로 '붓가는 대로' 써지는 것이다"라는 수필의 이론인 양 굳어진 생각에 저자는 동의할 수 없어서 이 평론집을 쓰게 되었다고 얘기하고 있다. 

저자가 들려주는 우리의 고전수필 중에서 <조침문>을 읽고 '아~ 그래 이 맛이지!'를 알 수 있었다. 

<조침문>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유세차 모년 모월 모일에 미망인 모씨가 침자(바늘)에게 고하는 글이다.
침자는 미망인의 남편으로 남편의 죽음에 대한 의물법의 수필이다. 의인법이냐 의물법이냐를 따지는 이유는 두 비유법에 따라 화자의 심리나 의식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바늘을 사람화 한 것과 남편을 바늘화 한 것의 차이> 를 알게 되었다. 바늘을 의인화 하고 서사-본사-결사로 플롯화된 점을 보면 <조침문>은 창작작품으로 볼 수 있다. 

우리 고전수필을 작품 분석, 해석을 곁들인 수필론을 개발하여 그 문학성을 현대에서 되살리기를 주장하고 있다. 현대문학 이론을 수필 작법에 적용해서 수필문학이 창작 문학으로 우뚝 설  수 있기를 바래본다. 

저자의 생각과 발문을 쓴 이관희 발행인의 글 '4천여 수필가들 눈에서 1백 년 동안 남몰래 흘려 온 '신변잡기' 서러움을 깨끗이 씻어내 주기를 바란다'는 것을 읽고 든 생각은 '수필을 누가 서자문학이라고 하는가?'였다. 여성작가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에세이도 엄연히 한 장르라고 생각하는 나에겐 너무 뜨악한 생각이었다. 내가 모르는 창작자들의 세계가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보게 되는 시간이었다.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